IaC라는 말은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를 코드(Code)로 관리를 하겠다라는 것이다.

 

Infrastructure as Code

 

이것을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도구 중에서

최근 가장 유명한 도구가 바로 해시코프(HashiCorp)에서 만든 테라폼(Terraform)이다.

 

바로 이 도구에 대해서 친절히 알려주는 책이 바로 이 책이다.

 

 

5월말에 출간된 따끈따끈한 책이다.

 

 

이 책의 구성은 개인 사용자를 위한 내용부터 단일팀, 다수팀을 넘어 조직 단위에서 필요한 내용까지 담고 있다.

 

 

다만, 이 책은 초보자들을 위한 책은 아니다.

본업이 Infrastructure와 관련된 분들을 위한 책이다.

 

 

이 부분이 조금 아쉬운 부분일 수도 있겠지만,

이 분야를 조금이라도 아시는 분들은 어쩔 수 없다는 것에 동의하실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Infrastructure 라는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조차 어려움이 있긴한데,

단순히 서버(Server)라는 hardware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지금 실제 필드에서 infrastructure라는 용어는 대단히 광의적으로 쓰이고 있다.

 

이 분야에서 업무를 하기 위해 알아야할 것들은 정말 많다.

CPU, Memory 등의 실제 hardware에 대한 지식도 알아야 하고

Windows Server나 Linux 등의 운영체제에 대해서도 알아야 하고

서버에 설치되는 MySQL, PostgreSQL,Oracle 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도 알아야 하고

NginX나 Apache, Tomcat과 같은 WAS에 대한 지식 뿐만 아니라

그 외 다양한 HW에 대한 지식 + SW에 대한 지식들을 모두 알아야 한다.

 

최근에는 심지어 AWS, Azure, GCP, OCI 등 Cloud에 대한 지식은 물론이고

Container, Kubernetes 등에 대한 지식까지 모두 알아야만 한다.

 

또한 보안 관련된 지식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까지도 필요하다.

 

 

위에서 언급한 모든 것들을 전부 잘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무엇인지 알고는 있어야 테라폼에 대해서 공부할만할 것이다.

 

그러면, 테라폼 외에 다른 IaC 도구들은 없는 것일까!?

 

 

비교표를 보면 알겠지만... 뭐 결국은 Terraform 짱!!!

 

 

설치 과정이 단순하기에... 사실 경로 설정만 신경쓰면 된다.

 

 

책은 전반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인 잘 만들어졌다라는 것이 느껴진다.

다만, 아쉬운 점은 ... 위 이미지와 같이 ... 컬러가 아니다보니, 몇 몇 그림은 아쉬움이 남는다.

 

 

서버 관리 및 DevOps 등을 담당하는 분들이라면,

서버 및 클라우드 등을 code로 관리하고픈 분들이라면 필독서로 옆에 비치해놓아야 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반응형



우리 아이가 어렸을 적에 쓰기 위해서 구매했던 노트북이 있었는데,

이제는 성능이 제대로 나오지 않아 새로운 노트북을 구매하면서 마땅한 사용처가 없어졌다.


그래서, 버리려다가 저전력 서버로 한 번 셋팅해보고자 마음을 먹었다.



무려 2세대 !!! ㅋㅋㅋ


메모리도 2GB 밖에 안되었는데...

마침 맥북프로 메모리 업그레이드 하면서 교체했던 것이 있어서 4GB로 업그레이드~!!





1. Ubuntu Server 다운로드


  - "Ubuntu Server 20.04.1 LTS" 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기로 했다.


  - https://ubuntu.com/download/server



  - "Option 3번"으로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2. 설치 USB 만들기


  - 부팅 USB 만들기 위해서 rufus 포터블로 다운로드 받아보자.


  - https://rufus.ie/


  - 다운로드 받은 뒤 실행한 뒤에



  - 위와 같이 설정을 하면 된다. (파티션 방식, 대상 시스템, 파일 시스템, 클러스터 크기 등)



  - "시작"을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그냥 "예"를 선택하면 된다.



  - ISO 이미지 모드로 쓰면 된다.





3. 노트북 BIOS 셋팅


  - 일단 BIOS에 들어가면 된다. (삼성 노트북은 부팅할 때 F2를 눌러주면 된다)


  - Boot 순서 항목에서 USB를 앞으로 잡아주면 된다.






4. Ubuntu 설치


  - 설치 언어는 그냥 English로 잡아주자. 한글 등은 나중에 직접 잡아주면 된다.



  - 설치 중에... 유선랜을 연결하지 않았더니, 인터넷 안된다고 뭐라한다. 뭐 일단은 그냥 무시하고 고고~~~!!



  - 그냥 나머지는 쭉~쭉~ 설치하면 된다.


  - 하지만, 재부팅 후에 로그인을 해도... 무선랜이 동작하지 않는다. 이걸 잡아보자.





5. cloud-init 제거



$ sudo dpkg-reconfigure cloud-init


제일 하단의 None 항목 빼고 나머지 전부 선택을 해제


$ sudo apt purge cloud-init


$ sudo rm -rf /etc/cloud/

$ sudo rm -rf /var/lib/cloud/


또는,


$ sudo mv /etc/cloud /srv/remove/cloud-init/etc-cloud

$ sudo mv /var/lib/cloud/ /srv/remove/cloud-init/var-lib-cloud





(VirtualBox 에서 게스트 확장 설치하기)


  - 메뉴 - 장치 - 게스트 확장 CD 이미지 삽입...


$ sudo mkdir /media/cdrom


$ sudo mount -t iso9660 /dev/cdrom /media/cdrom


$ sudo apt install build-essential linux-headers-`uname -r`


$ sudo /media/cdrom/./VBoxLinuxAdditions.run


$ sudo umount -v /media/cdrom


$ sudo reboot






6. 무선랜 설정


  - Reference : https://medium.com/@yping88/how-to-enable-wi-fi-on-ubuntu-server-20-04-without-a-wired-ethernet-connection-42e0b71ca198


  - 무선랜 드라이버 설치를 위해 파일들을 복사해야 한다. 다음의 3개 파일을 다운로드 받자 (다른 PC에서)


    . http://mirrors.kernel.org/ubuntu/pool/main/w/wpa/wpasupplicant_2.9-1ubuntu4_amd64.deb

    . http://mirrors.kernel.org/ubuntu/pool/main/libn/libnl3/libnl-route-3-200_3.4.0-1_amd64.deb

    . http://mirrors.kernel.org/ubuntu/pool/main/p/pcsc-lite/libpcsclite1_1.8.26-3_amd64.deb


  - USB는 앞에서 사용한 것을 재활용하기로 하고, FAT32로 포맷해서 준비하자.


  - 앞에서 다운로드 받은 3개의 파일을 USB에 넣자.


  - USB를 우리의 Ubuntu Server Notebook에 꼽자


  - USB를 바로 사용하지는 못하지만, 꼽힌 것을 인식했는지를 우선 확인해보자.


$ sudo fdisk -l



  - 제일 아래 부분을 보면 USB가 보일 것이다. Device 명칭을 잘 확인하자.


  - USB를 mount 하기 위해서 mount 위치 용도의 디렉토리 하나 만들고 mount를 하자.


$ sudo mkdir /media/usb


$ sudo mount -t vfat /dev/sdb1 /media/usb



  - USB에서 보이는 3개의 파일을 설치하면 된다.


$ cd /media/usb


$ sudo dpkg -i libnl-route-3-200_3.4.0-1_amd64.deb libpcsclite1_1.8.26-3_amd64.deb wpasupplicant_2.9-1ubuntu4_amd64.deb


  - 이제는 무선랜카드가 잘 잡혔는지 확인해보자.


$ ls -al /sys/class/net/



  - 밑에 보면 "wlp2s0b1"과 같이 제대로 인식된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물론 다른 환경에서는 다른 이름일 수도 있다!!!)


  - 다른 명령어로도 확인해볼 수 있다.


$ ip link



  - 무선랜카드가 잘 잡혔으니, 이제 무선랜 설정을 해보자.


  - netplan 으로 설정하면 되는데, 기존 설정 파일을 백업하고 설정 작업하면 된다.


$ sudo cp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 sudo nano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network:

  ethernetes: {}

  version: 2

  wifis:

    wlp2s0b1:

      dhcp4: true

      optional:true

      access-points:

        "SSID Name":

          password: "**********"

  renderer: networkd


  - 각자 환경에 맞는 "SSID Name"과 "Password" 설정하면 된다.


  - 문법에 맞춰서 잘 설정했는지 확인해보자.


$ sudo netplan --debug generate


  - 문제가 없으면 이제 실제 적용을 해보자.


$ sudo netplan apply


  - 제대로 동작을 하는지 보기 위해서 재부팅을 하면 된다.


$ sudo reboot





7. 기본 패키지 업그레이드


  - 이제 인터넷이 되니 패키지 업그레이드를 하자


$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 네트워크 관련 도구도 설치를 하자


$ sudo apt install net-tools





8. Language Pack 설치


  - 정상적인 한글 사용을 위해 Language Pack 설치를 해보자


$ sudo apt install language-pack-ko


$ sudo locale-gen ko_KR.UTF-8


$ sudo dpkg-reconfigure locales


$ sudo update-locale LANG=ko_KR.UTF-8 LC_MESSAGES=POSIX




9. Timezone 셋팅


  - Timezone도 제대로 되어있는지 셋팅해보자.


$ sudo timedatectl


$ sudo timedatectl list-timezones | grep Seoul


$ sudo timedatectl set-timezone Asia/Seoul


$ sudo timedatectl


$ date





10. nano 설정


  - 주요 데이터로 nano를 사용하기 위한 환경 설정도 해보자.


$ nano ~/.nanorc


set tabsize 4

set tabstospaces


  - root 계정을 위해서도 추가로 셋팅해주자.


$ sudo nano /root/.nanorc





11. 노트북 덮개 설정


  - 노트북 덮개를 닫더라도 절전 모드로 전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설정을 하자.


$ sudo nano /etc/systemd/logind.conf


  - "HandleLidSwitch=ignore" 라인을 추가하면 된다.


...

#HandleLidSwitch=suspend

HandleLidSwitch=ignore 

...


  - 수정한 내역을 반영해보자.


$ sudo systemctl restart systemd-logind






12. ssh-server


  - 이미 설치되어있던데... 혹시 모르니


$ sudo apt install openssh-server


  - 이제 외부에서 접속해보면 된다.





13. git 설치하기


  - 요즘은 기본이 되어버린 git ... 설치하고 기본 환경 셋팅을 하자


$ sudo apt install git


  - 사용자 환경 설정을 하자


$ git config --global user.name "whatwant"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whatwant@whatwant.com"






14. zsh


  - zsh 설치해보자


$ sudo apt install zsh


$ sudo apt install fonts-powerline


$ chsh -s $(which zsh)


  - 로그아웃 하고 재로그인을 해야 이후 셋팅을 진행한다.



  - 그냥 2번으로 선택해보자.


  - oh-my-zsh 설치를 진행하자.


$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com/robbyrussell/oh-my-zsh/master/tools/install.sh)"


  - theme를 변경해보자.


$ nano ~/.zshrc


# ZSH_THEME="robbyrussell"

ZSH_THEME="agnoster"


  - 또, 로그아웃 하고 재로그인 해보자. 원하는 모습으로 잘 나올 것이다.


  - 유용한 플러그인도 몇 가지 설치해보자


$ git clone https://github.com/zsh-users/zsh-syntax-highlighting.git ${ZSH_CUSTOM:-~/.oh-my-zsh/custom}/plugins/zsh-syntax-highlighting


$ git clone git://github.com/zsh-users/zsh-autosuggestions $ZSH_CUSTOM/plugins/zsh-autosuggestions


  - 다운로드 받은 플러그인을 등록하자.


$ nano ~/.zshrc


#plugins=(git)

plugins=(git zsh-syntax-highlighting zsh-autosuggestions)


  - 그리고 다시 설정 파일을 로딩하면 된다.


$ source ~/.zshrc


  - 멀티라인으로 출력되도록 하자.


$ nano ~/.oh-my-zsh/themes/agnoster.zsh-theme


  - 아래 파란색으로 된 부분만 추가해주면 된다.


...

## Main prompt

build_prompt() {

  RETVAL=$?

  prompt_status

  prompt_virtualenv

  prompt_aws

  prompt_context

  prompt_dir

  prompt_git

  prompt_bzr

  prompt_hg

  prompt_newline

  prompt_end

}


## multiline

prompt_newline() {

  if [[ -n $CURRENT_BG ]]; then

    echo -n "%{%k%F{$CURRENT_BG}%}$SEGMENT_SEPARATOR

%(?.%F{$CURRENT_BG}.%F{red})❯%f"


  else

    echo -n "%{%k%}"

  fi


  echo -n "%{%f%}"

  CURRENT_BG=''

}


PROMPT='%{%f%b%k%}$(build_prompt) '






15. sudo 패스워드 없애기


  - 툭하면 sudo를 사용해야하는데, 자꾸 패스워드 입력하는 것이 귀찮으니 없애버리자.


$ sudo visudo


  - 원하는 계정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제일 밑에 라인을 추가하자


whatwant ALL=(ALL) NOPASSWD:ALL





16. NTP


  - 시간 자동 동기화 설정 여부를 확인해보자.


$ timedatectl status


                      Local time: 일 2020-12-27 03:10:03 KST

                 Universal time: 토 2020-12-26 18:10:03 UTC

                        RTC time: 토 2020-12-26 18:10:04

                      Time zone: Asia/Seoul (KST, +0900)

 System clock synchronized: no

                    NTP service: inactive

                RTC in local TZ: no


  - 위와 같이 "System clock synchronized: no"로 되어 있으면 이하 과정을 실행해야 한다.


$ sudo systemctl start systemd-timesyncd


$ sudo systemctl enable systemd-timesyncd


  - 다시 확인해보자


$ timedatectl status


                       Local time: 일 2020-12-27 03:17:33 KST

                  Universal time: 토 2020-12-26 18:17:33 UTC

                         RTC time: 토 2020-12-26 18:17:34

                       Time zone: Asia/Seoul (KST, +0900)

System clock synchronized: yes

                     NTP service: active

                  RTC in local TZ: no


  - 혹시라도 방화벽 이슈로 NTP 서버를 변경해야 하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 sudo nano /etc/systemd/timesyncd.conf


  - NTP 부분의 주석 삭제하고 아래와 같이 서버를 지정해주면 된다.


NTP=time.windows.com



반응형

'OS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dy Viewer (tv) - CSV Viewer  (0) 2021.10.17
SSH Client on Windows (Xshell)  (0) 2021.01.03
LinuxBrew(HomeBrew) 설치하기 (Ubuntu 18.04)  (0) 2020.12.06
password 관리  (0) 2020.01.05
SSH 서버 포트 변경하기 (ssh server port change)  (0) 2019.07.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