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블로그를 오랫동안 보셨던 분들이라면

내가 git을 상당히 오랫동안 다뤄왔다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것이다.

 

git 자체에 대한 것은 물론이고

호스팅을 위한 gitolite 부터 시작해서, Gerrit 이라던지 지금은 GitHub 까지 ...

 

그런데, 요즘은 워낙에 GitHub가 시장을 평정해버려서

git 관련한 대부분의 것들의 표준이 GitHub에서 어떻게 하는지...가 되어버렸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GUI 기반의 git 도우미들을 사용하곤 한다.

 

하지만, git 초심자를 좀 벗어나게 되면

많은 분들이 CLI 방식으로 git을 사용하게 된다. (사실 이게 더 편한 것 같다!)

 

CLI 방식으로 git을 사용할 때 가장 아쉬운 것이 코드를 살펴볼 때인데...

이걸 해결해주는(?!) 재미있는 도구가 있어서 한 번 설치해봤다.

 

 

1. Delta

의외로 문서화가 잘되어 있어서 깜짝 놀랐다.

- https://dandavison.github.io/delta/

 

 

 

감사하게도 MIT 라이선스이다.

Star 갯수도 ... 우와 !!!

- https://github.com/dandavison/delta

 

 

 

 

2. Installation

지원해주는 설치 플랫폼을 보고선 또 한 번 깜짝 !!!!!

- https://dandavison.github.io/delta/installation.html

 

 

 

Debian 계열은 release 페이지에 가서 다운로드 받으라네...

- https://github.com/dandavison/delta/releases

 

 

 

잉?! 버전은 아직도 v0.18.2 ... 내 생에 v1.0을 보지는 못할 것 같네 ^^ ㅋㅋ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자.

> wget https://github.com/dandavison/delta/releases/download/0.18.2/git-delta_0.18.2_amd64.deb

> sudo dpkg --install ./git-delta_0.18.2_amd64.deb

 

금방 설치된다.

 

 

3. Environment

'.gitconfig' 파일에 설정을 해줘야 한다.

 

 > nano ~/.gitconfig

 

[core]
    pager = delta

[interactive]
    diffFilter = delta --color-only

[delta]
    navigate = true  # use n and N to move between diff sections
    dark = true      # or light = true, or omit for auto-detection
    line-numbers = true
    side-by-side = true
    
[merge]
    conflictstyle = zdiff3

 

 

 

4. Just Do It

간단히 살펴보기 위해서 commit 확인 후 'git show'를 해봤다.

 

❯ git log --oneline --graph

❯ git show 2a9249a

 

 

line number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GUI 못지 않은 깔끔함 !!!

 

심지어 Syntax highlighting도 잘 해준다.

 

 

우왕~

내 기본 환경에 포함시켜놔야 할 유틸리티이다 !!!

 

자세한 사용법은 공식 사이트를 참고하세요~

 

반응형

다른 API 테스트 툴을 써보려고 하다가

굳이 시장 지배적인 위치에 있는 Postman을 두고 다른 도구를 써야하나?라는 생각이 들어서... ^^

 

https://www.postman.com/

Postman

 

어?! 사이트 주소가 ".com" 이네!?

이거 회사에서 free 사용해도 되는 것일까?

Pricing

 

역시나! 가격 정책이 존재한다.

이거 참... 애매하다.

 

회사에서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해도 되는걸까?

구글링을 해보니 이런 답변이 있긴 하다.

 

https://gytni.com/new_gytni/qna.php?document_srl=25138&mode=contact&mode2=view&mode3=chk

Q&A

 

언제든 변할 수 있는 것이 라이선스이고, 가격정책인지라

현재 시점에서도 허용되는 내역인지는 추가 확인이 필요할 것 같다.

 

법적 해석까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Terms 내용을 살펴봐도 그렇고, 구글링 결과들을 살펴봐도

회사에서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여기에서 하나 더 살펴볼 것이 있다.

위의 가격정책은 플랫폼 서비스로 제공되는 것에 기반한 정책으로 보인다.

Product

 

다운로드 받아서 직접 설치해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Downloads

 

다운로드 받아서 직접 설치/사용한다고 하여 무조건 free 인 것은 아니지만,

보안 측면에서도 그렇고 여러가지를 검토해봐도 그렇고

회사에서 사용한다고 하면 다운로드 받아서 직접 설치 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판단된다.

 

 

 

1. Download

웹사이트를 통해서 다운로드를 받는 것이 가장 편하지만,

개인적인 취향으로 CLI를 통해 다운로드 받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진행했다.

 

> wget https://dl.pstmn.io/download/latest/linux64 -O postman-linux-x64.tar.gz

 

 

2. Extract

압축 해제를 하면 된다.

 

참고로 주로 "/opt" 경로를 사용하도록 가이드를 하고 있는데.

개인적인 취향으로 "/srv/install/postman" 경로를 사용했다.

 

> tar -zxvf postman-linux-x64.tar.gz

 

 

3. Symlink

실행 경로 등을 위해 symlink 생성을 해주면 좋다.

 

> sudo ln -s /srv/install/postman/Postman/Postman /usr/bin/postman

 

 

4. Desktop Icon (Optional)

선택적이기는 한데,

GUI에서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아이콘을 만들어 놓으면 좋다.

 

> sudo nano /usr/share/applications/postman.desktop

 

[Desktop Entry]
Type=Application
Name=Postman
Icon=/srv/install/postman/Postman/app/resources/app/assets/icon.png
Exec="/srv/install/postman/Postman/Postman"
Comment=Postman Desktop App
Categories=Development;Code;

 

오른쪽 아래에 예쁘게 생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5. Execute

실행을 해보자.

위에서 생성한 아이콘을 이용해도 좋고, CLI를 통해서도 실행할 수 있다.

 

웹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Client가 실행된다.

 

6. Account

계정을 요구한다.

"Create Free Account"를 선택하면...

 

홈페이지에서 계정 생성하는 화면으로 넘어온다.

굳이 계정을 만들고 싶지는 않은데...

 

그래서 "Continue without an account"를 선택해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부족하더라도 "Open Lightweight API Client"를 이용하도록 하자.

 

 

7. GUI Client

이제 드디어 원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사용법은 다음 포스팅으로 정리해보겠다.

반응형

전자제품을 구매하고 언박싱을 하면 매번 튀어나오는 매뉴얼...

하지만, 우리는 보통 그 매뉴얼을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 어!? 나만 그런가!? ^^

 

리눅스 서버를 구성하고 종종 확인하는 리소스...

솔직히... 그 의미가 어떤 것인지 경험으로만 파악했지, 정확한 의미는 잘 모른다. 어?! 나만 그런가?! ^^

 

[ Environment ]

- VM : VirtualBox v7.0.6 r155176

- OS : Ubuntu 20.04 LTS

 

VirtualBox

 

 

[ top ]

내 서버가 왠지 힘들어하는 것 같으면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이 'top' 명령어이다.

> top

 

여기에서 주로 보는 것은 다음의 'load average' 영역일 것이다.

load average

 

'load average'는 시스템의 부하정도를 알려주는 지표인데,

실행중인 프로세스 또는 Disk I/O 등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프로세스의 정도를 알려주는 정보로써

CPU core 1개당 1 이상의 값을 갖는다면 대기해야하는 task가 있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

 

그런데, 왜 3개의 값이 보일까?!

1분 / 5분 / 15분 순서로 값을 보여주는데, 이를 통해 부하가 심해지고 있는지 해소되고 있는지 경향을 볼 수 있다.

 

개인 PC라면 가성비로 사용해야하기에 1에 맞춰서 Spec을 확보해도 괜찮겠지만

서비스를 위한 서버라면 아무리 돈이 없어도 평균 0.5 이하로 맞춰야 그나마 성능 저하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단 여기까지만 알아도 충분하지 않을까!? ^^

 

 

[ core ]

우리가 요즘 사용하는 CPU는 거의 multi-core일 것이다.

어!? 그런데, 생각해보니 Kubernetes에서 POD의 core를 소숫점으로도 줄 수 있는데... 일단 지금은 무시!!! ^^

core

 

실습을 하고 있는 환경은 일단 VirtualBox에서 2 core를 할당했다.

정말 잘 되어있는지 확인해보자.

> cat /proc/cpuinfo

 

스크린샷을 다 찍기에는 너무 길어져서 잘랐는데.... 그냥 심플하게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2 core가 잘 할당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른 명령어로도 확인할 수 있다.

> lscpu

 

 

[ full-load CPU ]

CPU 관련한 부하가 한계치까지 가면 어떻게 되는지 시뮬레이션을 해보자.

 

> nano cpu.py
#!/usr/bin/python

test = 0
while True:
    test = test + 1

 

Terminal 탭을 2개를 열고 진행을 해보자.

> python ./cpu.py

 

> top

 

응?! 그런데, 2 core 인데...

CPU 100%라고 하면, load 값이 2가 되어야 할 것 같은데 ... 1 값으로 수렴하고 있는 것 처럼 보인다.

 

그 이유는!

지금 실행되고 있는 python은 core 1개에서 실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python을 하나 더 실행해보자.

> python ./cpu.py

 

그리고나서 top을 다시 한 번 확인해보면,

> top

 

2 core이기 때문에, 각각 100% 실행이 되고 있으니... 2 값으로 나온다.

 

어!? 그러면 하나 더 실행하면!?

> top

 

밑에 보이는 리스트 형식의 내역을 보면 CPU는 총 200%를 3으로 나눠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 보일 것이다.

'load average' 값은 3값으로 수렴하고 있다.

 

 

[ uptime]

'top' 명령어 말고 다른 명령어도 알아보자.

> uptime

 

지속적으로 값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1회성으로 뿌려주고 끝난다.

 

 

[ /proc/loadavg ]

또 다른 방법으로도 확인해볼 수 있다.

> cat /proc/loadavg

 

 

[ w ]

top 명령어와 uptime 명령어의 중간쯤에 위치하고 있는 것 같은 'w' 명령어도 있다.

> w

 

 

그런데, 'load average'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CPU 사용만 있을까!?

답은.... 당연히... 아니다 !!!

 

 

[ full-load Disk I/O ]

디스크에 읽고 쓰는 것도 부하를 야기한다.

 

> nano io.py
#!/usr/bin/python

while True:
    f = open("./test.txt", 'w')
    f.write("TEST")
    f.close()

 

> python ./io.py

 

> top

 

CPU 사용량은 9%를 찍고 있지만 'load average'를 보면 1에 수렴하고 있다.

 

CPU 100%를 찍으면 어떻게 될까?

 

> python ./cpu.py

 

> top

 

'load average'를 보면 2에 수렴하고 있지만 CPU 사용량을 보면 차이가 있다.

 

 

그렇다.

'load average'는 단순하게 Running 중인 프로세스 뿐만 아니라 Disk I/O로 인해 대기타는 것도 같이 바라보고 있다.

 

그러면, 이렇게 부하가 잡히고 있을 때 분석은 어떻게 하면 될까!?

일단은 뭐, top으로 확인 가능한 아래 리스트 목록으로 추적이 가능하다.

 

하지만, CPU 부하가 문제인지 Disk I/O 대기가 문제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vmstat ]

어떤 상태인지 'vmstat' 명령어를 사용해보자.

> vmstat

 

'vmstat' 명령어는 일단 Virtual Memory Statistics의 약자로써 현재 CPU 및 Memory 사용량을 알 수 있다.

 

지금 여기에서 살펴볼 것은 앞 부분에 있는 "r"과 "b" 부분이다.

 

"r"은 현재 실행하려고 하거나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개수를 알려주는 것이고

"b"는 uninterruptible sleep 상태의 프로세스 개수, 즉 I/O 대기를 하고 있는 프로세스의 개수를 알려준다.

 

중간에 io.py의 실행을 종료하면 어떻게 나오는지를 살펴보자.

> vmstat 1

 

중간에 보면 "b" 부분이 0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 서버가 지금 힘들어하지는 않는지

머리(CPU)가 아픈지 손(I/O)이 바쁜지 파악해서 해결해주도록 하자.

반응형

최근에 "git sparse-checkout" 명령어를 살펴보면서 git version을 좀 따져보았었다.

  - https://www.whatwant.com/entry/sparse-checkout-size

 

"떡 본 김에 제사지낸다"고,

이번 기회에 Git 최신 버전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 Environment ]

릴리즈된지 좀 오래되긴 했지만,

실무에서 주력으로 사용되는 Ubuntu 20.04 버전을 기준으로 하겠다.

(설마 우리 회사에서만? ^^)

 

❯ lsb_release -a
No LSB modules are available.
Distributor ID: Ubuntu
Description: Ubuntu 20.04.6 LTS
Release: 20.04
Codename: focal


❯ uname -a
Linux chani22-VBox 5.15.0-76-generic #83~20.04.1-Ubuntu SMP Wed Jun 21 20:23:31 UTC 2023 x86_64 x86_64 x86_64 GNU/Linux

 

 

[ Default ]

Ubuntu 20.04 설치 후에 "git" 설치는 손쉽게 가능하다.

버전까지 바로 확인해보자.

 

❯ sudo apt install git


❯ git --version
git version 2.25.1

 

 

[ Check ]

그러면, 지금 현재 git 최신 버전은 어떻게 될까?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되는 최신 버전은 "v2.41.0"이다.

 

https://git-scm.com/

 

최신 버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할까!?

"Release Notes"를 한 번 살펴봐보자.

 

https://raw.githubusercontent.com/git/git/master/Documentation/RelNotes/2.41.0.txt

 

밑으로 스크롤을 내려보면 지난 버전의 Release Note도 확인 가능한데,

뭔가 새로운 명령어나 기존 명령어의 변경 및 개선 사항들이 많이 보인다.

 

즉, 새로운 버전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 Install ① Using Apt ]

Git PPA를 추가해서 apt를 이용해 Git 최신 버전을 설치해보자.

 

❯ sudo add-apt-repository ppa:git-core/ppa
 The most current stable version of Git for Ubuntu.

For release candidates, go to https://launchpad.net/~git-core/+archive/candidate .
 더 많은 정보: https://launchpad.net/~git-core/+archive/ubuntu/ppa 
[ENTER]을 눌러 진행하거나 Ctrl-c를 눌러 추가하는것을 취소합니다.

기존:1 http://packages.microsoft.com/repos/code stable InRelease
기존:2 https://dl.google.com/linux/chrome/debstable InRelease
...


❯ sudo apt upgrade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상태 정보를 읽는 중입니다... 완료
업그레이드를 계산하는 중입니다... 완료
다음 패키지를 업그레이드할 것입니다:
  git git-man
2개 업그레이드, 0개 새로 설치, 0개 제거 및 0개 업그레이드 안 함.
9,438 k바이트 아카이브를 받아야 합니다.
이 작업 후 10.1 M바이트의 디스크 공간을 더 사용하게 됩니다.
계속 하시겠습니까? [Y/n] 
받기:1 http://ppa.launchpad.net/git-core/ppa/ubuntu focal/main amd64 git amd64 1:2.41.0-0ppa1~ubuntu20.04.1 [7,325 kB]
받기:2 http://ppa.launchpad.net/git-core/ppa/ubuntu focal/main amd64 git-man all 1:2.41.0-0ppa1~ubuntu20.04.1 [2,113 kB]                                       
내려받기 9,438 k바이트, 소요시간 31초 (302 k바이트/초)                                                                                                         
(데이터베이스 읽는중 ...현재 186326개의 파일과 디렉터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Preparing to unpack .../git_1%3a2.41.0-0ppa1~ubuntu20.04.1_amd64.deb ...
Unpacking git (1:2.41.0-0ppa1~ubuntu20.04.1) over (1:2.25.1-1ubuntu3.11) ...
Preparing to unpack .../git-man_1%3a2.41.0-0ppa1~ubuntu20.04.1_all.deb ...
Unpacking git-man (1:2.41.0-0ppa1~ubuntu20.04.1) over (1:2.25.1-1ubuntu3.11) ...
git-man (1:2.41.0-0ppa1~ubuntu20.04.1) 설정하는 중입니다 ...
git (1:2.41.0-0ppa1~ubuntu20.04.1) 설정하는 중입니다 ...
Processing triggers for man-db (2.9.1-1) ...


❯ git --version
git version 2.41.0

 

이걸로 끝이다.

 

이렇게 하면 너무 쉽기에 추천할만한 방법이지만...

간혹 내부망 등의 이슈로 PPA 추가가 어려운 경우가 있으니 다른 방법도 알아보자.

 

 

[ Install ② Source Build ]

좀 번거로울 수도 있지만, 소스코드를 내려 받아서 직접 빌드를 해보자.

 

일단 apt로 설치한 git 패키지를 삭제하자.

 

❯ sudo apt purge git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상태 정보를 읽는 중입니다... 완료
다음 패키지가 자동으로 설치되었지만 더 이상 필요하지 않습니다:
  git-man liberror-perl
'sudo apt autoremove'를 이용하여 제거하십시오.
다음 패키지를 지울 것입니다:
  git*
0개 업그레이드, 0개 새로 설치, 1개 제거 및 0개 업그레이드 안 함.
이 작업 후 46.6 M바이트의 디스크 공간이 비워집니다.
계속 하시겠습니까? [Y/n] 
(데이터베이스 읽는중 ...현재 186489개의 파일과 디렉터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git (1:2.41.0-0ppa1~ubuntu20.04.1)를 제거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읽는중 ...현재 185600개의 파일과 디렉터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Purging configuration files for git (1:2.41.0-0ppa1~ubuntu20.04.1) ...

 

빌드에 필요한 것들을 미리 설치해두자.

 

❯ sudo apt install dh-autoreconf libcurl4-gnutls-dev libexpat1-dev make gettext libz-dev libssl-dev libghc-zlib-dev asciidoc docbook2x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상태 정보를 읽는 중입니다... 완료
주의, 'libz-dev' 대신에 'zlib1g-dev' 패키지를 선택합니다
패키지 make는 이미 최신 버전입니다 (4.2.1-1.2).
패키지 libexpat1-dev는 이미 최신 버전입니다 (2.2.9-1ubuntu0.6).
libexpat1-dev 패키지는 수동설치로 지정합니다.
패키지 libssl-dev는 이미 최신 버전입니다 (1.1.1f-1ubuntu2.19).
패키지 zlib1g-dev는 이미 최신 버전입니다 (1:1.2.11.dfsg-2ubuntu1.5).
다음 패키지가 자동으로 설치되었지만 더 이상 필요하지 않습니다:
  git-man liberror-perl
'sudo apt autoremove'를 이용하여 제거하십시오.
다음의 추가 패키지가 설치될 것입니다 :
  autoconf automake autopoint autotools-dev debhelper dh-strip-nondeterminism dwz ghc intltool-debian libarchive-cpio-perl libarchive-zip-perl libbsd-dev
  libcroco3 libdebhelper-perl libfile-stripnondeterminism-perl libltdl-dev libmail-sendmail-perl libsigsegv2 libsub-override-perl libsys-hostname-long-perl
  libtool m4 po-debconf
제안하는 패키지:
  autoconf-archive gnu-standards autoconf-doc dh-make gettext-doc libasprintf-dev libgettextpo-dev ghc-prof ghc-doc haskell-doc llvm-6.0 libcurl4-doc
  libidn11-dev libkrb5-dev libldap2-dev librtmp-dev libssh2-1-dev libghc-zlib-doc libghc-zlib-prof libtool-doc gfortran | fortran95-compiler gcj-jdk m4-doc
  libmail-box-perl
다음 새 패키지를 설치할 것입니다:
  autoconf automake autopoint autotools-dev debhelper dh-autoreconf dh-strip-nondeterminism dwz gettext ghc intltool-debian libarchive-cpio-perl
  libarchive-zip-perl libbsd-dev libcroco3 libcurl4-gnutls-dev libdebhelper-perl libfile-stripnondeterminism-perl libghc-zlib-dev libltdl-dev
  libmail-sendmail-perl libsigsegv2 libsub-override-perl libsys-hostname-long-perl libtool m4 po-debconf
0개 업그레이드, 27개 새로 설치, 0개 제거 및 0개 업그레이드 안 함.
74.8 M바이트 아카이브를 받아야 합니다.
이 작업 후 799 M바이트의 디스크 공간을 더 사용하게 됩니다.
계속 하시겠습니까? [Y/n]

 

소스코드를 내려받을 곳을 확인해보자.

 

https://github.com/git/git

 

오른쪽 하단의 tags를 클릭해보자.

 

https://github.com/git/git/tags

 

소스코드 내려받고, 압축을 해제하자.

 

❯ wget https://github.com/git/git/archive/refs/tags/v2.41.0.tar.gz
--2023-07-12 00:42:52--  https://github.com/git/git/archive/refs/tags/v2.41.0.tar.gz
github.com (github.com) 해석 중... 20.200.245.247
다음으로 연결 중: github.com (github.com)|20.200.245.247|:443... 연결했습니다.
HTTP 요청을 보냈습니다. 응답 기다리는 중... 302 Found
위치: https://codeload.github.com/git/git/tar.gz/refs/tags/v2.41.0 [따라감]
--2023-07-12 00:42:53--  https://codeload.github.com/git/git/tar.gz/refs/tags/v2.41.0
codeload.github.com (codeload.github.com) 해석 중... 20.200.245.246
다음으로 연결 중: codeload.github.com (codeload.github.com)|20.200.245.246|:443... 연결했습니다.
HTTP 요청을 보냈습니다. 응답 기다리는 중... 200 OK
길이: 지정하지 않음 [application/x-gzip]
저장 위치: `v2.41.0.tar.gz'

v2.41.0.tar.gz                              [          <=>                                                                   ]  10.30M  5.51MB/s    / 1.9s     

2023-07-12 00:42:55 (5.51 MB/s) - `v2.41.0.tar.gz' 저장함 [10804275]


❯ tar zxvf v2.41.0.tar.gz

 

이제 빌드 진행하면 된다. 어렵지 않다.

 

❯ cd git-2.41.0


❯ make prefix=/usr/local all doc info
GIT_VERSION = 2.41.0
    * new build flags
    CC oss-fuzz/fuzz-commit-graph.o
    CC oss-fuzz/fuzz-pack-headers.o
    CC oss-fuzz/fuzz-pack-idx.o
    CC daemon.o
    * new link flags
    CC common-main.o
    CC abspath.o
    CC add-interactive.o
...


❯ sudo make prefix=/usr/local install install-doc install-html install-info

 

기본 환경 설정은 필수 !!

 

❯ git config --global user.name "whatwant"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whatwant@whatwant.com"

 

자동완성 기능을 사용하고 싶다면 추가 설정을 진행하자.

 

bash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sudo cp ./contrib/completion/git-completion.bash /etc/bash_completion.d/

 

zsh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자.

 

mkdir ~/.zsh


❯ cp ./contrib/completion/git-completion.bash ~/.zsh/



 cp ./contrib/completion/git-completion.zsh ~/.zsh/_git


nano ~/.zshrc

 

뒷 부분에 다음 라인을 추가하면 된다.

 

fpath=(~/.zsh $fpath)
zstyle ':completion:*:*:git:*' script ~/.zsh/git-completion.bash

 

shell 관련된 사항은 shell에 재진입해야 적용된다.

그게 싫다면 source 하던지...^^

 

 

빌드해서 설치까지 진행하는 과정이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직접 버전 선택하고, 환경도 직접 꾸미는 것이 확실한 방법이긴 하다. 화이팅 !!

반응형

 

1대의 개발PC에서

여러 대의 Server 환경을 구축하고자 할 때 VirtualBox를 이용하곤 한다.

 

VirtualBox

 

Kubernetes 실습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master 1대 + worker 2대 = 총 3대의 Ubuntu Server 머신이 필요한 경우를 생각해보자.

 

개인적인 취향으로 Ubuntu를 애용하는데,

Ubuntu를 설치하고 나면 locale 설정, timezone 설정 等 나름 여러가지로 셋팅을 할 것들이 많다.

 

그렇게 우선 master 역할을 할 1대의 Ubuntu Server를 셋팅을 했다고 해보자.

- https://www.whatwant.com/entry/Ubuntu-Server-2204-LTS

 

이제 worker 역할을 할 2대의 Ubuntu Server를 만들어야 하는데,

다시 또 OS 설치하고 셋팅하는 과정을 반복해야하는 것은 너무나 비효율적인 것 같다.

 

그래서 VirtualBox의 머신 복제 기능을 이용해보고자 한다.

 

복제

 

좀 더 많은 정보를 보려면 "전문가 모드"를 선택하면 된다.

원하는 머신 이름과 경로(Path)를 입력하고, MAC 정책은 새로운 MAC 주소 설정을 하도록 하자.

 

설정

 

이걸로 준비는 끝났다.

"Finish"를 눌러주면 복사가 이뤄진다. 생각보다 오래걸린다(개인적인 PC 환경 차이일 수도 있다^^).

 

Finish

 

이것으로 끝났을까!? 아니다!!!

일단 시작해서 부팅해보자.

 

부팅

 

여기에서 어떤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는지 찾아보기 바란다! ^^

 

$ hostname

master

 

그렇다! 원본과 같은 hostname을 쓰고 있다.

그러면 바꿔주면 된다 ^^

 

$ sudo hostnamectl set-hostname worker01

$ hostname

worker01

 

여기까지~

 

반응형

 

간만에 Server 버전을 설치해야할 상황이 생겨서 기록을 남겨보고자 한다.

 

https://ubuntu.com/download/server

 

현재 정확한 버전은 22.04.02 LTS 이다.

Server 버전임에도 용량이 1.8GB 라니 .... 대박이구만...

 

일단 아래 과정은 Windows 10 Host 환경의 VirtualBox 7.0.6 버전에서 진행을 했다.

 

운영체제는 Ubuntu (64-bit) 로 선택해야 한다.

 

VirtualBox - OS

 

지금 필요로 하는 환경이 낮은 Spec이어야 해서 2GB 메모리로만 설정을 했고,

core가 2개 이상이어야 해서 일단 2개로 선택했다.

 

VirtualBox - HW

 

디스크 용량은 어짜피 동적 용량이기에 조금은 여유있게 설정해주는 것이

혹시 모를 나중에 대비해 바람직한 선택이다.

 

VirtualBox - HDD

 

네트워크 설정은 "NAT"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여기에서는 "어댑터에 브리지"를 선택해서 Host와 동일한 레벨에서 IP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

(집에서 공유기를 쓰는 환경이라고 하면 공유기로부터 IP를 직접 받도록 하는 것)

 

VirtualBox - Network

 

이제 다운로드 받은 Ubuntu Server ISO 이미지를 등록해서 부팅 및 설치를 진행하자.

별도로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기본 설정으로 진행한 것이다.

 

Ubuntu Server

 

IP도 잘 받아온 것을 볼 수 있다.

 

IP

 

기본이 LVM 이다. 흐음... 그냥 가자.

 

LVM

 

기본 설정은 free 공간을 두는데, 그냥 전체를 다 사용하는 것으로 변경해보자.

 

Before

 

ubuntu-lv 설정을 아래와 같이 잡아주면 된다.

 

edit

 

after

 

OpenSSH server 설치는 필수다!!!

 

OpenSSH server

 

설치가 끝나면 Close 해줘야 한다.

 

Close

 

재부팅 하면 아래와 같이 에러 화면이 나오기도 한다.

걱정하지 말자.

 

cloud-init

 

엔터 한 번 치고

앞에서 입력한 계정 및 패스워드 치면 로그인 된다.

 

login

 

기분 나쁘게 에러 발생한 패키지부터 삭제하자

 

$ sudo apt purge cloud-init

 

sudo 했을 때 패스워드 입력하는게 기분나쁘니(?) 해결하자.

 

$ sudo visudo

 

제일 밑에 아래와 같이 (각자 계정으로) 입력해놓고 저장하면 된다.

 

whatwant ALL=(ALL) NOPASSWD:ALL

 

패키지 전체적으로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 하자.

 

$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수 있는데, 그냥 바로 OK 하자.

 

 

필요 없는 것들 지우고 깔끔히 재부팅하자.

 

$ sudo apt autoremove

$ sudo reboot

 

 

Server에서 굳이 한글이 필요할까 싶지만, 그래도 세종대왕님을 생각하며...

 

$ sudo apt install language-pack-ko

$ sudo locale-gen ko_KR.UTF-8

$ sudo dpkg-reconfigure locales

$ sudo update-locale LANG=ko_KR.UTF-8 LC_MESSAGES=POSIX

 

locale

 

네트워크 관련 도구들을 사용하기 위해 net-tools 패키지를 설치하자.

 

$ sudo apt install net-tools

 

많이 쓰는 git 패키지도 설치하고, 기본 환경 설정까지 해놓자.

 

$ sudo apt install git

$ git config --global user.name "whatwant"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whatwant@gmail.com"

 

우리는 한국에 살고 있으니, TimeZone을 맞춰보자.

 

$ sudo timedatectl

               Local time: 금 2023-04-14 16:14:51 UTC
           Universal time: 금 2023-04-14 16:14:51 UTC
                 RTC time: 금 2023-04-14 16:14:51
                Time zone: Etc/UTC (UTC, +0000)
System clock synchronized: yes
              NTP service: active
          RTC in local TZ: no

 

정확한 TimeZone 명칭을 확인해보고,

 

$ sudo timedatectl list-timezones | grep Seoul

Asia/Seoul

 

설정해주면 된다.

 

$ sudo timedatectl set-timezone Asia/Seoul

$ sudo timedatectl

               Local time: 토 2023-04-15 01:16:05 KST
           Universal time: 금 2023-04-14 16:16:05 UTC
                 RTC time: 금 2023-04-14 16:16:05
                Time zone: Asia/Seoul (KST, +0900)
System clock synchronized: yes
              NTP service: active
          RTC in local TZ: no

 

심지어 "System clock synchronized: yes"라고 되어있는 것을 보면 시간 동기화 설정도 이미 되어있다!

 

 

 

개인적인 취향에 따른 설정도 추가적으로 해보자.

 

vi를 싫어하고 nano를 사용하기에 nano 기본 설정값을 넣어보겠다.

 

$ nano ~/.nanorc

 

tab을 공백 4칸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set tabsize 4
set tabstospaces

 

root 권한으로 사용하는 경우, 특히 sudo 사용할 때를 위해서 추가적으로... (내용은 동일)

 

 $ sudo nano /root/.nanorc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으로 작업 공간 설정도 해놓겠다.

 

$ sudo mkdir /srv/workspace
$ sudo mkdir /srv/install

$ sudo chown whatwant:whatwant /srv/workspace/
$ sudo chown whatwant:whatwant /srv/install/

 

Server 환경이니만큼 굳이 zsh 등까지는 설치하지 않겠다.

 

 

추가적으로 VirtualBox Guest-Additions를 설치해보자.

GUI 환경이 없기에 생략할 수도 있긴 한데.... 그래도 성능 향상이 있다고 하니 해보자.

 

게스트 확장 CD 이미지

 

우리는 지금 Server 버전의 Ubuntu이기에 직접 마운트 작업을 해줘야 한다 ^^

 

$ sudo mkdir /media/cdrom

$ sudo mount /dev/cdrom /media/cdrom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해보자.

 

$ cd /media/cdrom/

$ ls -al

total 41763
dr-xr-xr-x 5 root root     2570  1월 12 01:28 .
drwxr-xr-x 3 root root     4096  4월 15 13:40 ..
-r--r--r-- 1 root root     1049  8월 23  2022 AUTORUN.INF
dr-xr-xr-x 2 root root     1252  1월 12 01:28 NT3x
dr-xr-xr-x 2 root root     2828  1월 12 01:28 OS2
-r--r--r-- 1 root root      592  1월 12 01:28 TRANS.TBL
-r--r--r-- 1 root root  2202917  1월 11 23:38 VBoxDarwinAdditions.pkg
-r-xr-xr-x 1 root root     4225  1월 11 23:35 VBoxDarwinAdditionsUninstall.tool
-r-xr-xr-x 1 root root  5968312  1월 11 23:36 VBoxLinuxAdditions.run
-r--r--r-- 1 root root  9332736  1월 11 23:38 VBoxSolarisAdditions.pkg
-r-xr-xr-x 1 root root 15755216  1월 12 01:27 VBoxWindowsAdditions-amd64.exe
-r-xr-xr-x 1 root root  9227840  1월 12 01:08 VBoxWindowsAdditions-x86.exe
-r-xr-xr-x 1 root root   243728  1월 11 23:38 VBoxWindowsAdditions.exe
-r-xr-xr-x 1 root root     6849  1월 11 23:35 autorun.sh
dr-xr-xr-x 2 root root     1468  1월 12 01:28 cert
-r-xr-xr-x 1 root root     5097  1월 11 23:35 runasroot.sh
-r--r--r-- 1 root root      259 10월  2  2021 windows11-bypass.reg

 

Guest-Additions를 설치하기 위해서 필요한 패키지들을 먼저 설치해줘야 한다.

 

$ sudo apt install -y dkms build-essential linux-headers-generic linux-headers-$(uname -r)

 

이제 설치를 진행하면 된다.

 

$ sudo ./VBoxLinuxAdditions.run

 

무슨 이상한 에러메시지가 나올 수 있으나 쫄지 말자.

GUI 환경이 없기에 발생하는 것이다.

 

재부팅하고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까지 해보자.

 

$ sudo reboot

---

$ lsmod | grep vbox

vboxguest             434176  0

$ modinfo vboxguest

filename:       /lib/modules/5.15.0-69-generic/misc/vboxguest.ko
version:        7.0.6 r155176
license:        GPL
description:    Oracle VM VirtualBox Guest Additions for Linux Module
author:         Oracle and/or its affiliates
srcversion:     55B45B43FE1759D12174E93
alias:          pci:v000080EEd0000CAFEsv00000000sd00000000bc*sc*i*
depends:
retpoline:      Y
name:           vboxguest
vermagic:       5.15.0-69-generic SMP mod_unload modversions

 

여기까지~ 끝~

반응형

 

리눅스를 CLI 방식으로 원격 접속하는 것은 비교적 쉽다.

`openssh-server` 설치 후에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하면 끝이다.

 

그런데, 리눅스에서 GUI 방식으로 접속하는 것은 쉽지 않다.

 

Windows 환경에서는 원격데스크탑(mstsc) 이용하면 끝인데,

리눅스에서는 뭔가를 설치하고 설정을 해줘야 한다.

 

프로그램의 선택지도 다양하다.

- TightVNC

- RealVNC

- TeamViewer

- xrdp

- https://en.wikipedia.org/wiki/Comparison_of_remote_desktop_software

 

 

그런데, Windows에서의 원격데스크탑은

본래 사용하고 있던 화면 그대로의 모습으로 작업하던 세션 그대로 연결이 되는데

위에서 언급한 대부분의 리눅스 원격데스크탑 도구들은 그렇지가 않다.

 

그러던 중 알게된 vino

다른 사람들은 다 알고 있었는데, 나만 몰랐나!?

구글 검색을 해보니 아직 그다지 많은 자료가 없는 것으로 보아 아직 유명하지는 않은 것 같다.

 

 

 

1. Install

  - 기본 설치되어 있다. 혹시 모르니 그래도 한 번 더 확인!

❯ sudo apt install vino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상태 정보를 읽는 중입니다... 완료
패키지 vino는 이미 최신 버전입니다 (3.22.0-3ubuntu1.2).
vino 패키지는 수동설치로 지정합니다.
0개 업그레이드, 0개 새로 설치, 0개 제거 및 0개 업그레이드 안 함.

 

2. Settings

  - 기본 설정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암호 설정을 하면 된다.

  - 하지만, 암호 길이 제한일 비롯해서 추가적인 설정을 하려면 `dconf-editor`가 필요하다.

 

 

3. dconf-editor

  - 마찬가지로 설치는 쉽다.

❯ sudo apt install dconf-editor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상태 정보를 읽는 중입니다... 완료
다음 새 패키지를 설치할 것입니다:
  dconf-editor
0개 업그레이드, 1개 새로 설치, 0개 제거 및 0개 업그레이드 안 함.

  - 설치한 dconf-editor를 실행하자.

  - `/org/gnome/desktop/remote-access` 파일을 편집하자

  - `require-encryption` 항목을 꺼주자. 보안상 문제의 여지가 있지만 이 부분은 좀 더 알아보기로 하고...

  - 만약 password를 8자 이상 사용하고 싶으면 base64 encoding 해서 `vnc-password` 항목에 넣어주면 된다.

 

 

4. VNC Viewer

  - 사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해보련다.

    . ultraVNC - https://uvnc.com/

  - Viewer로만 사용할거니 그에 맞게 설치하면 된다.

 

 

5. Connect

  - 이제 연결할 일만 남았다.

  - IP만 쓰고 Connect 하면 된다. 세부 옵션을 사용하고 싶으면 `Show Options`

  - 앞에서 입력해놓은 패스워드 사용

  - 정말 원하는대로 나온다!!!

 

 

정말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강추 !!!

 

반응형

 

# Portainer ?

  - `Docker 관리를 위한 GUI 도구`로 시작해서 지금은 K8s, Azure ACI에 대한 지원까지 확장되고 있다.

  - https://www.portainer.io/

 

 

# 설치 환경

  - Ubuntu 20.04, Docker 20.10.12

❯ lsb_release -a
No LSB modules are available.
Distributor ID: Ubuntu
Description: Ubuntu 20.04.3 LTS
Release: 20.04
Codename: focal

❯ docker --version
Docker version 20.10.12, build e91ed57

 

 

# Install Portainer with Docker on Linux

  - Reference: https://docs.portainer.io/v/ce-2.11/start/install/server/docker/linux

 

① create volume

  - portainer에서 사용할 volume을 생성하고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해보자

❯ docker volume create portainer_data
portainer_data

❯ docker volume ls
DRIVER    VOLUME NAME
local     portainer_data

 

② install portainer

  - docker를 이용해 portainer를 설치하고 결과까지 확인해보자

❯ docker run -d -p 8000:8000 -p 9443:9443 --name portainer \
    --restart=always \
    -v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
    -v portainer_data:/data \
    portainer/portainer-ce:2.11.0
Unable to find image 'portainer/portainer-ce:2.11.0' locally
2.11.0: Pulling from portainer/portainer-ce
0ea73420e2bb: Pull complete 
c367f59be2e1: Pull complete 
b71b88d796e2: Pull complete 
Digest: sha256:4f126c5114b63e9d1bceb4b368944d14323329a9a0d4e7bb7eb53c9b7435d498
Status: Downloaded newer image for portainer/portainer-ce:2.11.0
92f2bb51b10e3eb9bb09dd7f1731abd8796a8e1611cd42ef1d30b472472d7e13

❯ docker p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92f2bb51b10e   portainer/portainer-ce:2.11.0   "/portainer"   39 seconds ago   Up 25 seconds   0.0.0.0:8000->8000/tcp, :::8000->8000/tcp, 0.0.0.0:9443->9443/tcp, :::9443->9443/tcp, 9000/tcp   portainer

 

③ login

   - `https://localhost:9443` 또는 `https://IP:9443` 주소를 통해 웹 접근 해보자

비공개

  - 인증서 문제로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고급` 버튼을 누르고 `192.168.100.100(안전하지 않음)` 클릭!

passwd

  - 그리고, 관리자 패스워드 설정을 진행하면 된다

Get Started

  - 다른 서버도 같이 관리할 수 있지만, 지금 우리는 local만 관리할 것이기 때문에 `Get Started`를 클릭하면 된다

Home

  - local 밖에 없으니 하나 밖에 보이지 않는 것이 당연하고, `local`을 클릭해보자

local

 

너무나 깔끔하고 좋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