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이라는 '버전 관리 도구'를 언급하면 바로 따라오는 말이 있다.

- 리누스 투르발스 (Linus Benedict Torvalds, 위키피디아 기준 발음)
- 리눅스 커널 (Linux Kernel)
- 안드로이드 (Android)
-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 DVCS)



다른 것들은 다음에 기회가 있으면 이야기하도록 하고,
여기에서는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만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소프트웨어 형상관리의 흐름을 살펴보면,

로컬에서 파일시스템 기반으로 형상관리를 하다가,
네트워크 기반의 중앙집중식으로 관리를 하고,
최근에는 분산형 관리가 유행이다.



도구로 따지면,
'버전 관리 도구'의 고전작품인 'CVS'
'버전 관리 도구'의 대중화를 이끈 'Subversion'

이들과 'Git'이 차별점을 보여주는 부분이 바로 '분산 (Distribute)'이다.





컴퓨터 세상은 우리가 살아가는 사람들의 세상과 밀접하다.

C++을 통해서 우리에게 알려진 객체지향(Object-Oriented)이라는 것도
컴퓨터 언어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철학의 산물인 것처럼

분산 처리라는 것도 신경망 모델 중 하나로 개념화되어
일반적으로 부하가 걸리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나누어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는 아주 대중화된 방법이다.

말단 처리 장치의 능력이 좋아지고
네트워크가 잘 이루어진 상황에서는
당연한 수순으로 집중처리에서 분산처리로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CVS'와 'Subversion'과 같은 기존의 '중앙 집중식 버전 관리 도구'
'서버-클라이언트 (Server-Client)' 구조를 따른다.

'서버'를 구축해 놓고 사용자는 '클라이언트'로 붙어서 작업을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발생하는 문제 중에서 가장 큰 것은
'서버'가 없으면 '클라이언트'는 작업을 할 수 없다는 점이다.

다른 문제로는 '중앙 집중식 버전 관리 도구'의 장점이자 단점인데,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단순하고 쉽게 할 수 있는 반면에
다양한 '워크 플로우(Work Flow)'를 구현하는데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실제 현업에서 이러한 '중앙 집중식 버전 관리 시스템'을 사용할 때
피부에 와닿는 문제는 협업을 할 때에 있었다.
특히 해외 연구소들... 더욱 더 특히 인도와 같이 느린 네트웍...




'중앙 집중식 버전 관리 시스템'의 경우를 예를 들어보자,
서버를 구축하는 것도 쉽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쉽고
한 곳에 모여서 열심히 작업을 할 때에는 아무런 문제도 없다.

그러던 중 해외의 연구소와 협업을 하게 되면서 문제가 발생한다.

그냥 기존과 같이 새로 계정 발급해주고 국내 서버에 붙어서
협업을 하게 하는데 해외쪽의 네트웍 속도가 느려서
제대로 check-out/in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즉, 소스를 다운 받는데 네트웍이 느리다보니 종종 실패를 하게 되고,
더 큰 문제는 작업한 내용을 서버로 올릴 때 실패를 하는 경우이다.

실패를 하는 것은 그나마 나은 경우이고,
에러가 없었는데 파일 일부를 누락하게 되면 정말 괴롭게 된다.

이 모든 원인은 느린 네트웍 속도.

특히 관리하는 소스 코드의 용량이 클 경우에는
추가적인 더더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흔한 방법은
'프록시 서버(Proxy Server)'를 원격지 가까운 곳에 두는 것이다.

그리고는 메인 서버와 '동기화(Synchronization)'를 하도록 하면 된다.

보통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와 같은 상황을 해결하지만,
동기화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완전히 피할 수는 없다.



이러한 것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 바로
"분산 버전 관리"이다!

서버에서 check-out을 하게 되면
서버와 똑같은 내용을 전부 클라이언트가 갖게 된다.
즉, 클라이언트가 서버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로컬(local)'에 서버 복사본을 구축해버리면,
서버와 연결되지 않아도 혼자서 commit을 할 수 있다.

필요할 때에 필요한 내용만 서버로 보낼 수가 있다.

'프록시 서버'와 유사하면서도 또 다른 구성이다.

"Git"과 같은 "분산 버전 관리 도구"에서
기본적으로 손쉽게 '복사본(clone)'을 구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정말 다양한 '워크 플로우'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정말 유연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인데,
이러한 유연성이 부담스러울 경우에는
기존 방식과 같은 타이트한 워크 플로우를 구성할 수도 있다.

비록 "Git"이 지향하는 '분산 버전 관리'의 모습은
'병렬 분산 처리 (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 PDP)'이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워크 플로우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Git'의 명령어들을 공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Git'을 이용하여 어떻게 작업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이다.

'C언어'를 공부하는 것과 마찬가지인 것이다.
문법을 모두 공부했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어떻게 프로그램을 만들 것인지에 대해서 공부해야하는 것처럼 말이다.


실제로 'Git'으로 이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는
앞으로 차차 살펴보도록 하자.



[ 참조 ]
리누스 투르발스 - http://ko.wikipedia.org/wiki/%EB%A6%AC%EB%88%84%EC%8A%A4_%ED%86%A0%EB%B0%9C%EC%A6%88
분산 버전 관리 - http://ko.wikipedia.org/wiki/%EB%B6%84%EC%82%B0_%EB%B2%84%EC%A0%84_%EA%B4%80%EB%A6%AC_%EC%8B%9C%EC%8A%A4%ED%85%9C
인지과학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403
분산 버전 제어 시스템 소개 -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au-dist_ver_control/
Reversion Control System - http://en.wikipedia.org/wiki/Revision_control_software
반응형

[ 한글 ]
형상 관리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
버전 관리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
소스 관리 (소스 코드 관리)


[ 영어 ]
Version Control
Revision Control
Source Control
Source Code Management (SCM)
Software Version Management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SCM)




Subversion, Git, ClearCase 등과 같은 도구를 통해서 (또는 도구가 없더라도)
소스 코드, 문서, 결과물 등을 번호(버전)를 사용하여
관리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지칭해야 할까?



소프트웨어 공학(Software Engineering)이라는 학문은
개인적으로 '공학계의 인문학'이라고 여겨진다.

바꿔말하면 무엇을 정의하는 것이 어려우며,
정답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말이다.



최근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로 인하여
대중화 되어버린 "플랫폼(Platform)"이라는 것을 보아도
분야마다 사람마다 그 정의가 전부 다를 수밖에 없다.

시험 문제로 "플랫폼의 정의를 쓰시오"라고
나오면 정말 당황스러울 것 같다.



이번의 경우는 조금은 색다른 경우인데,
이것을 지칭하는 용어가 너무 많아서 문제가 된다.

같은 것을 지칭하면서
다들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Subversion, Git 과 같은 것을 지칭할 때에는
"버전 관리 도구 (Version Control Tool)"
라고 한다.

그러한 버전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구축한 시스템은
"버전 관리 시스템 (Version Control System, VCS)"
이라고 부르곤 한다.



소프트웨어 공학을 공부하다 보면
상당 부분의 개념이 산업 공학 특히 생산 공학에
그 기반을 두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로 인하여, 버전 관리를 포괄하는 다른 용어가 나오는데
"형상 관리 (Configuration Management)"
가 그것이다.


그 중에서 소프트웨어 분야에 대해서는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SCM)"
라고 부르고 있다.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는
'버전 관리'를 포함하는 더 크게 포괄하는 의미다.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Software Life Cycle)' 전반에 걸쳐서
개발 환경을 비롯한 전반적인 모든  형상물들에 대한
'변경 관리'를 위한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형상 식별, 버전 제어, 변경 제어, 형상 감사, 형상 상태 보고 등
어려운 말로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에 대한 정의들이 있긴 하다.



어려운 이야기를 계속 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라는 것이
곧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말을 하고 싶은 것이다.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의 범주 안에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가 포함이 되어 있을 뿐이다.



문제는 이러한 것을 실무자들도 분명히 알고 있으면서도
아니, 최소한 어렴풋하게 알고 있으면서도
이 두 가지 용어를 그냥 동의어로 사용하고 있다.

또 사실 동의어로 사용해버린다고 하여
꼭 틀렸다고 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 우기면 뭐 그렇다고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 )


단순히 소스 코드에 대해서만 관리한다고 하면
"버전 관리"
소스 코드를 비롯하여 개발 환경, 빌드, 기타 등등까지라면
"형상 관리"
라고 지칭하기로 하자.


우리가 앞으로 계속 살펴볼 "Git"은
기본적으로 "버전 관리 도구"이다!


하지만, Git을 기반으로 하여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든다면
그것은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 시스템"
이라고 부르기로 하자.


[ 참고 ]
http://ko.wikipedia.org/wiki/%EB%B2%84%EC%A0%84_%EA%B4%80%EB%A6%AC
http://ko.wikipedia.org/wiki/%ED%98%95%EC%83%81_%EA%B4%80%EB%A6%AC
정보통신단체 표준, TTA.IE-828,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 계획 표준
반응형
 
오픈소프트웨어 등을 다운받을 때에 가장 자주 접하던 사이트가 예전엔 SourceForge.com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GitHub.com이 대세이다.

심지어,
프로그래머 경력 중에서 요즘 가장 각광받는 것이 GitHub.com을 통해서 공개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있는지라고 한단다.

GitHub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도록 하자.


1. Site

     - 일단 사이트에 접속하자.



     - 상단의 [ Signup and Pricing ]을 클릭하면 된다.


     - 분명히 GitHub는 무조건 무료로 운영되는 자원봉사 단체는 아니다.
       개성강한 많은 사람들이 근무하고 있는 회사다(https://github.com/about/team).
     - 하지만, open source를 개발하는 입장에서는 천국과도 같은 곳이기도 하다.

     - 오픈 소스가 아닌 사적인(?) 프로젝트를 운영하기 위해서도 돈을 주고 repository를 할당 받아야 한다.
     - 또, GitHub 시스템 자체는 오픈 소스는 아니다. 돈을 주고 구매(?)해야만 하는 시스템이다.
       물론 GitHub와 유사한 시스템을 위한 GitLab HQ와 같은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은 있다(http://gitlabhq.com/).



2. Create account

     - 뭐 여하튼 0달러의 유지비로 사용가능한 "Create a free account"를 선택하면 된다.


     - 입력할 사항이 정말 없다. 정말 친절하고도 바람직한 사이트다.
     - 가뿐하게 입력하고 [ Create an account ]를 누르면 된다.


     - 처음엔 정말 깜짝 놀랐다. "아니~ 이렇게 귀여운 이미지들은 대체 뭐야?!"




이걸로 가입 과정은 끝~

응!? 너무 쉽다고?! 뭐 이 다음부터가 진짜로 GitHub에 대한 이야기가 될 것이다.

SSH 공개키도 등록하고, Repository도 만들고 프로젝트도 공유하고, 내 프로젝트에 다른 사람들을 참여도 시키고...
다른 프로젝트를 Fork하기도 하고... 등등...

반응형

나름의 목적을 가지고 열심히 포스팅을 하고 있는 블로그이지만,
댓글 하나 없이 몇 날 몇 일이 흐르면 조금 외롭게 되는데, 최근 댓글을 잘 달아주시는 분들이 생겨서 너무 좋다.
그런 감사한 분들 중 한 분이 알고 싶으시다는 내용이기도 하고 내가 하려고 했던 내용이기도 하다.


EGit에 대한 정보는 다음을 참조했다.
     - http://wiki.eclipse.org/EGit/User_Guide


여기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내용은 바로 "Eclipse"에서 Git 사용하기!!!



01. Eclipse

     - 개발 환경으로 가장 유명한 도구 중 하나임은 다시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 Java 기반의 프로그램으로써 한계를 고스란히 안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무겁다는 말이다.


     - JDK 설치 먼저 해야하는 것은 당연하고...
        →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index.html
     - Eclipse 역시 다운 받아서 설치, 아니 압축을 풀어주면 된다.
        → http://www.eclipse.org/downloads/



02. 확인

     - Eclipse에서 사용할 수 있는 Git plugin은 크게 JGit 과 EGit 두 가지가 있다.
     - 그런데, 예전에는 이 plug-in들을 별도로 설치를 해주어야 했지만 최근들어 이걸 기본적으로 제공해주고 있다.

     - 하지만, Eclipse Classic을 설치하면 포함이 안되어있다.


     - Import 하는 부분에 CVS는 있지만, Git은 안보인다.






03. 설치

     - GIt 관련 Plug-in이 내장되어있지는 않지만, 제공은 해주고 있다.


     - [ Help ] → [ Install New Software ]
     - Work with 부분에서 "Indigo"를 골라주자.


     - "Collaboration" 항목을 확장해서 "Eclipse EGit"을 선택하면 된다. 나머지 과정은 그냥 쓕쓕~


     - 설치를 마치고 나면, 재시작을 물어본다. 당연히 재시작해주면 된다.




04. Preference

     - EGit Plug-in의 환경 설정을 하자.


     - [ Window ] → [ Preference ]


     - "Team" → "Git" 항목을 선택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05. User Settings

     - 개발 PC에서 Git을 사용하기 위해 환경을 맞출 때에 제일 먼저 해야할 것은 내가 누구인지 알려주는 것이다.


     - 기본적인 환경 설정에 대해서 잘 확인하고 입력해놓자.



06. SSH public key

     - 우리는 지금 Gitolite를 사용하고 있는 환경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으므로 공개키를 등록해보자.


     - [ Git ] 항목이 아니라 [ General ] 항목에서 "Network Connections - SSH2" 부분에서 설정을 한다.
     - 앞 포스팅에서 "Git Bash"를 통해 "ssh-keygen"으로 키를 만들었으면 위와 같은 설정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 물론 만약 다른 경로에 위치하고 있다면, 그에 맞게 변경하면 된다.



07. Import

     - 이제 Remote Repository에 있는 프로젝트를 가져오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자.


     - [ File - Import ] 메뉴를 선택해서 나오는 창을 살펴보면 "Git"이라는 항목이 새로 나온 것이 확인된다.
     - "Projects from Git"을 선택하면 된다.


     - Remote Repository로 부터 받아올 것이니 당연히 "URI"를 선택하면 된다.


     - URI를 작성할 때에 바로 URI를 작성할 필요없이, 밑의 항목들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URI가 완성된다.
     - Host, Repository path, Protocol(다시 한 번 ssh 선택해주면 된다), User를 입력해주자.
     - Password는 비워두면 된다. 왜냐하면, 우리는 SSH 공개키를 등록했기 때문이다.


     - 성공적으로 연결이 되면 branch를 선택하는 창이 나온다.


     - 어디에다가 파일들을 받을 것인지, 어느 branch로 시작을 할 것인지, Remote 이름을 확인하자.


     - 그러면 위와 같이 cloning 작업을 수행한다.


     - 다 받아오게 되면 위와 같이 받아온 소스코드를 프로젝트와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를 묻는 화면이 나온다.
     - 일단은 위 스크린샷과 같이 새로운 프로젝트로 만들어보자.


     - 받아온 소스코드 성격에 따라서 프로젝트 타입을 골라주면 된다.


     - 그리고, 프로젝트 名을 적어주면 된다.


     - 그러면, 이제 마무리가 되어야 하는데...

     - 뭔가 이상하지 않은가??????



08. Directory

     - 그렇다. 프로젝트를 만들었는데, 파일들이 안보인다.

     - 앞에서 살펴본 부분에서 Directory들을 한 번 살펴보면 이상한 원인이 보일 것이다.


     - 프로젝트를 만들 때 location을 확인해야 한다.
     - Remote Repository를 clone 받을 때에 지정했던 경로와 동일하게 설정을 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 이번에는 제대로 파일들이 보일 것이다!



09. Share Project

     - 그러면 Git 관련 작업을 할 때엔 어떻게 해야할까?!


     - [ Team - Share Project ]를 실행하면 창이 하나 나오는데...


     - 경고 메시지가 나온다. "HOME" 이라는 이름의 환경변수를 설정해야 한다는 말이다.

     - 하지만, 안내메시지처럼 알아서 기본 경로를 잘 잡아준다.
     - 귀찮으면 "Do not show again"을 체크함으로써 끝~

     - 공식 가이드에 의하면 Windows 7 환경에서는 "Users" 디렉토리의 대소문자 오류가 있으니 참고~!!


     - [ Use or create repository in parent folder of project ]에 체크를 하고 "Finish"를 해주면 된다.


     - 모두 설정하고 나면 오른쪽 버튼의 "Team" 항목에 위 스크린샷과 같이 새로운 메뉴가 나타난다.




여기까지~~~~~~
Eclipse 환경에 대해서 너무 길게 포스팅한 것 같지만... 그래도 좀 아쉬운 부분도 있다.



오늘은 이 블로그를 통해서 좋은 인연을 맺게 된 분과 처음으로 만났다.
그로 인해서 너무나 감사한 기회를 얻게 될 것 같은데... 뭔가 정해지면 다시 또 공유해보겠다.

반응형

포스팅을 할 때 가장 즐거운 일은 댓글을 확인하는 것이다 ^^
이번에는 저에게 너무나 큰 기쁨을 주는 댓글을 통해 문의하신 것 중 하나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고자 한다.

Gitolite에 대해서 어려워 하시는 분들의 대부분은 Gitolite 때문이 아니라,
SSH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공개키(public key)에 대한 사항 때문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Windows에서 공개키 만들고 등록하는 것은 Linux 환경에서 하는 것과 거의 동일하다.
그래도 다시 한 번 되돌아 보는 의미로 살펴보면서 공개키에 대해서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다.



1. 공개키 등록하기

     - 새로운 사용자, 지금 상황에서는 Windows XP 환경의 사용자가 등록을 하고 싶은 경우를 살펴보자.


     - 왼쪽 하단의 'chaniXP'라는 이름의 사용자가 공개키를 만들어서,
       왼쪽 상단의 gitolite 관리자에게 보내면, 그 관리자가 등록 및 설정을 하고,
       오른쪽의 Server에 push를 하면,
       chaniXP 사용자는 Server로부터 허용된 repositories를 clone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여기서 중요한 점은 chaniXP라는 사용자는 Server의 계정이 아니다.
     - Gitolite를 사용하게 되면, Server에서는 'git-repo'라는 계정 하나만 있으면 된다.




2. Git Bash

     - Windows 환경에서 Git 설치하기를 하셨다면, Git Bash가 있을 것이다.


     -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면, 다음 포스팅을 참조하면 된다.
     - http://whatwant.tistory.com/288





3. Windows에서 공개키 만들기

     - Linux 때와 마찬가지로 [ ssh-keygen ]을 실행하여 공개키를 만들어주자.


$ ssh-keygen

     - Windows 환경에서도 분명히 사용자 이름이 있으며, home directory는 존재한다.
     - 그냥 엔터만 쳐도 잘 만들어진다.




4. 공개키 보내기

     - Gitolite 관리자에게 공개키를 보내서 등록해달라고 해야한다.
     - 여기에서는 gitolite라는 계정에게 scp를 통해서 공개키를 보내주도록 하겠다.



     - 중요한 점은 이전에도 한 번 언급했지만, 일반적으로 [ 계정명.pub ] 형식의 파일명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5. Gitolite 관리자

     - 이제부터는 Gitolite 관리자가 해야하는 일이다.

     - 우선은 새로운 파일이 잘 들어왔는지 확인을 하고, 그 계정에게 권한을 부여해주면 된다.


$ nano ./conf/gitolite.conf

     - ./keydir directory 안에 [ chaniXP.pub ]라는 파일이 잘 들어왔는지 확인을 하고,
     - [ ./conf/gitolite.conf ] 환경 파일을 수정해주면 된다.


     - 공개키를 등록한다해도, 그 계정이 어느 repository에 권한을 갖는지 정해주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다.




6. push

     - 제일 중요한 과정이다. 바로 서버에 해당 정보들을 보내주어야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


$ git add ./keydir/chaniXP.pub
$ git commit -a -m "add user - chaniXP"
$ git push

     - 위 스크린샷과 명령어 정리한 내용과 차이가 있다.

     - 정말 종종 실수하는 부분인데, 기존에 등록된 파일의 수정이 아니라 새로운 파일이 등록되었을 경우에는
        [ git commit -a -m "..." ] 명령으로 처리가 되지 않는다. 별도로 등록을 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 이 부분만 주의해서 정리하고 push 해주면 모든 것은 끝난다!!!




강원도 솔비치로 2박3일 가족여행을 다녀오자마자 내 방에 처박혀서 포스팅을 하고 있으니,
우리 아가와 와이프가 째려본다.... ㅋㅋㅋ ^^

솔비치 호텔에서 2박 모두 했는데 바로 앞에 바다가 있어서 아가랑 놀러가기에는 정말 좋은 것 같다.
다만, 아직까지는 물이 차가워서 모래놀이 위주로 했지만...

다음에는 호텔이 아니라 콘도로 예약을 해야겠다 ^___^

반응형

'SCM > Git-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 Signup  (0) 2012.06.10
Gitolite in Eclipse ( 이클립스 환경에서 Gitolite 접근하기 )  (1) 2012.06.07
Rebase - 또 하나의 merge  (0) 2012.05.30
Gitolite - Personal Branches  (4) 2012.05.28
Gitolite - user, repo 추가하기  (14) 2012.05.26

Git의 가장 큰 장점인 자유로운 branch, 그 branch의 자유로운 사용의 최종 종착지는 바로 merge다.
즉, branch를 생성해서 자유롭게 작업하다가 그 결과가 쓸만해지면 master에 merge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이다.
그런데, 바로 이 자유로운 branch 때문에 repository 내부가 지저분해질 우려가 다분히 많다.

많은 사용자가 달라붙어서 작업을 하다보면 별의 별 희한한 개발습관을 보여주는 개발자가 꼭 존재하고,
이러한 개발자들로 인해서 master branch가 바보가 되어버리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문제는 이러한 경우로 인해서 Git의 안전성을 의심받기까지 한다는 점이다.

제대로 이해를 하고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무관하지만,
어설픈 지식으로 말도 안되는 행위를 과감히 행하는 개발자들이 문제가 되는 것인데...

그렇다 하더라도 무조건 그 책임을 무지한 개발자 탓으로 할 수는 없다.

그 부분을 해결하는 것은 해당 repository를 운영하는 담당자의 몫이며,
그러한 부분에 대한 분명한 프로세스 또는 가이드를 제시해주어야 한다.

이런 막중한 책임과 임무를 가진 관리자에게 merge 명령어 외에도 또 하나의 무기를 Git에서 제공해주고 있다.
그것이 바로 rebase 이다.


1. branch

    - rebase를 설명해보기 위해서 상황을 준비해보자.


$ git checkout -b hotfix

     - 우선 branch 하나를 만들어 주고,


$ nano ./readme.txt
$ git commit -a -m "modify readme.txt in hotfix br"

     - 파일 하나 수정해서 commit까지 해보자.




2. before log

     - rebase 하기 전에 현재 log를 살펴보고 시작하자.


$ git checkout master
$ git log -3




3. rebase

     - 우선은 'hotfix branch'의 log 부터 확인하고,


$ git checkout hotfix
$ git log -3

     - merge 대신에 우리모두 rebase 하자!


$ git rebase master

     - 어?! 뭔가 rebase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 같다!


     - 바로 뒤에 설명을 하겠지만, 위와 같은 상황에서는 rebase를 할 것이 없다.


$ git checkout master
$ nano readme1.txt
$ git commit -a -m "modify readme1.txt in master br"

     - master branch에서 commit 하나 추가해보자.


     - 위 그림과 같이 A commit에서 각 branch 별로 분기를 하도록 한 것이다.


$ git checkout hotfix
$ git rebase master

     - 다시 rebase 해보자.
     - 그런데, log를 보면 이전 master branch에서 작업한 내용까지만 있다. 뭐지?!
     - rebase 후 해야하는 것이 fast-forward 해줘야 한다.


$ git merge hotfix

     - 어?! 뭔가 이상하지 않은가?
     - merge의 다른 방법이 rebase라는데, rebase를 하고도 결국 다시 merge를 해야하다니???

     - 일단, rebase를 하고 나면 아래와 같은 상태가 된다.


     - 뭔가 다른 점을 찾았는지.....?!
     - A에서 분기를 했던 hotfix branch의 B commit이 사라지고,
       master branch의 C commit 뒤에 새로운 B` commit이 생겼다.

     - rebase는 branch로 인한 commit의 분기를 한 줄로 다시 줄을 세운다. 그것도 새로운 commit을 만들어서...
     - 더불어 신기한 것은 기존의 commit은 사라진다(실제로 물리적으로 지워지는지는 나중에 살펴보겠다).

     - 그런데, 여기서 또 하나 잡아야 하는 포인트는 rebase 후에 master branch의 위치가 기존의 위치다.
     - hotfix branch의 내용을 master branch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B` commit의 위치로 master branch가 가야한다.

     - 자료들을 보면 rebase 후 fast-forward 해주면 된다는데, fast-forward가 대체 뭔지....?! ㅋ~ 정답은 merge다.


     - 위와 그림과 같이 이루어진다.



앞에서 적었던 내용에 대해서 정정을 해야할 것 같다.

별도의 branch를 만들어서 작업을 하고 그것을 합치는 방법이 merge와 rebase의 두가지가 있다고 했는데,
이 말은 조금 틀린말 같다.

branch를 만들어서 작업한 내용을 합치는 방법은
바로 (즉시 merge)를 하는 방법과 (rebase 후 merge)를 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rebase를 하는 이유는 commit을 깔끔하게 정리해서 일렬로 줄을 세워서 정리를 해주는 것이다.
즉, branch의 남발로 인해서 commit들이 꼬일 우려가 있는 상황에서 단순화 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다.


다만, rebase를 사용하는 것은 작업하는 branch가 임시일 때 유용하다.
지속적으로 개발 branch를 유지하는 개발 프로세스를 사용한다면 rebase는 적합하지 않다.



오늘 두산이 KIA의 윤석민을 잡았다~!!! ^^
즐거운 하루~~~~ 인데, 포스팅을 하다보니 새벽 1시가 다가오네.... ㅠㅠ

모두 파이팅~!!!

반응형


"Gitolite"는 특이하게 "personal branches"라는 것을 지원해준다.


처음에는 Pro-Git 책에서 이에 대한 언급이 있어서 여기저기 살펴보았었는데,
자료가 너무나 심플하게만 있고 원론적인(?) 이야기만 있어서 그냥 그런갑다~하고 넘어갔었다.


그러다가 회사에서 업무를 하던 중 아래와 같은 개발자의 VOC(?)를 듣게 되었다.

master 브랜치에는 마음대로 push하기가 부담스럽고,
로컬에서 별도로 브랜치를 만들어서 작업을 하면 작업 내용이 날라갈까봐 걱정이 된다.
내가 작업한 내용들에 대해서도 백업이 되면 좋겠다.


즉, 자신이 작업하는 내용에 대한 백업이 필요하다는 말이었다.



이 이야기를 듣고 처음에는 충격이었다.

Git 의 가장 큰 강점이 바로 "분산 형상 관리"이다.

즉, 작업 내용을 commit 할 때마다 서버에 접근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Git의 강점이라는 것인데,
commit 한 내용이 로컬에 머무른다는 것이 단점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에 좀 충격이었다!!!


절대 위와 같은 Work Flow로 작업을 하라고 가이드 하는 것은 아니다.
지금 설명을 위해서 위와 같은 branch 정책을 가지고 개발을 한다고 가정을 해보는 것이다. 샘플!!!

아래 글로 적힌 내용에 대해서는 잘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
(실제 회사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반영한 부분도 있으니...^^)

왼쪽은 Server Repository이고, 오른쪽이 Local Repository이다.

Server에서는 master와 develop branch를 운영하는데,
기본적으로 두 개의 branch 모두 어느 정도 다듬어진 결과물이 올라와야 한다.

빌드를 기준으로 말하자면
Server의 master, develop branch 모두 빌드가 항상 성공되어야 한다.

반면, Local에 있는 develop branch에서 개발자가 열심히 개발을 하는데,
Server의 develop branch에는 빌드가 정상적으로 되는 결과물만 push 해줘야 한다.
즉, 이래 저래 작업한 내용을 막 push 하면 안되고, 그것은 local 안에서 commit만 이루어지도록 해야한다.

그런데, 개발자는 작업한 결과물 뿐만 아니라
작업 중인 내용물에 대해서도 서버에 백업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하는 것이다.

그래서 개발자는 별도의 branch를 local에 만들어서 작업을 해본다.
my_br 이라는 branch를 만들어서 작업을 하고 그걸 다시 local에 위치한 develop으로 merge를 해주는 방식이다.
이제 이 my_br이라는 branch만 어디 다른 곳에 저장할 수 있으면 되는 것이다.


오른쪽에 새로 생긴 부분과 같이 Local에서 작업한 내역을 push할 수 있는 Server Repository가 있다면...?!



앞에서 우리는 Gitolite 설치와 운영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문제는 대부분의 회사에서 일반 개발자들에게 repository 생성 권한을 주지 않는다는 점이다.

물론 개인적으로 별도의 Git Server를 만들어서 그곳으로 push 하도록 한다던지 뭐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우리의 Gitolite는 Personal Branch라는 기능을 제공해준다.



푸헬~ 위에 주저리 주저리 적었는데, 별 쓸모 없는 말만 주절거린 것 같다.
하지만 뭐 그래도 적은 것이 아까우니까.... ^^



1. Gitolite

     - "personal branch"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Gitolite 설정을 해줘야 한다.

 

$ ssh gitolite@localhost
$ cd ./repositories


     - Gitolite의 환경파일을 변경해야하기 때문에 Gitolite 관리자 계정으로 접속하자.
     - [ gitolite-admin.git ] repository를 clone 한 곳으로 이동하자.


$ nano ./conf/gitolite.conf


     - [ gitolite.conf ]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whatwant = chani gitolite

repo gitolite-admin
    RW+     =   gitolite

repo testing
    RW+     =   @all

repo bare1repo
        RW+                              = @whatwant
        RW+     personal/USER/  = @whatwant


     - 위에 별도로 색으로 칠한 부분이 핵심이다.
     - [ /USER/ ]와 같이 되어있는 부분은 일종의 예약어이다. (personal 으로 되어있는 부분은 임의)

     - 위와 같이 하면 [ refs/personal/사용자계정/ ]이라는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그런데, 왜 브랜치가 아니라 네임스페이스라고 하였을까?!
     - 실제로 사용할 때에는 [ refs/personal/사용자계정/branchname ]과 같이 사용한다.

$ git commit -a -m "personal branch setting"
$ git push


     - 수정 후 종종 잊는 것이 commit과 더불어 push이다. 꼭 반영하길~




2. push

     - personal branch에 대한 자료가 너무 없어서 개인적으로 알아본 것으로만 정리를 하겠다.
        (적어도 국내 한글로 된 자료 중에서는 최초의 personal branch 관련 자료가 아닐지...)
     - 이제 어떻게 사용하는지 한 번 알아보자.


$ git push origin develop:refs/personal/chani/mywork


     - Local에 있는 특정 branch의 내용을 Server의 내 personal branch의 임의의 branch로 push해 주는 것이다.

     - personal branch는 백업의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큰 것으로 보인다.
     - 즉, 그냥 사용하는 branch와는 그 용도가 조금 다른 것이다.
     - 물론 위의 스크린샷과 같이 변경 사항을 포함하는 내용을 push 할 수도 있지만, 그냥도 push할 수 있다.

     - [ git push origin (local branch 名):refs/personal/(계정)/(임의의 branch 名) ]



3. pull

     - 그러면 personal branch 내용을 받아올 때에는 어떻게 할까?

 

$ git pull origin refs/personal/chani/mywork:wow


     - personal branch의 내용을 내려받을 때엔 임의의 branch로 내려 받는다.

     - [ git pull origin refs/personal/(계정)/(branch 名):(임의의 local branch 名) ]



4. delete

     - 만들었으면 지우는 방법도 알아보자.

 

$ git push origin :refs/personal/chani/mywork


     - 일반 branch를 삭제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삭제할 수 있다.




5. Server

     - 이렇게 만든 personal branch는 Server에서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 Server에 위치한 repository를 살펴보면 personal branch의 상황에 대해서 알 수 있다.
     - 위 스크린샷은 delete를 해버려서 안보이지만, 만들어놓은 상태라면 위와 같이 따라가서 확인할 수 있다.




헥헥... 알고보면 별 것도 아닌 내용이지만,
워낙에 설명을 찾아보기 힘든 부분이라서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만 했다.

그러던 중에, 여기 이 블로그를 통해서 너무 반가운 소식이 들어와서 잠시 헬렐레~했고,
부처님 덕분에 연휴를 맞이했고,
장모님의 환갑을 맞이했고,
뭐 그런 연유로 이제서야 포스팅~ ^^

앞으로 해야할 부분이 너무나 많이 남았네요~ 부지런히 달려봅시다~!!

반응형

어이없게도 Gitolite의 설치나 설정만 신경썼지,
사용자를 추가하는 것과 repository를 추가하는 것은 신경도 안썼다.

소사~ 소사~ 맙소사~!!!

     - http://sitaramc.github.com/gitolite/users.html


물론 앞에서 설명한 것들을 잘 조합하면 사용자 추가하는 방법과 repository 추가 등록하는 방법을 알 수는 있지만,
나름 정리하는 차원에서 다시 한 번 살펴보자.



1. 사용자 추가하기

     - Gitolite는 SSH 공개키 (public key) 파일로 사용자 등록을 한다.


$ ssh gitolite@localhost
$ cd ./repositories/gitolite-admin
$ cd ./keydir
$ scp chani@localhost:/home/chani/.ssh/id_rsa.pub ./chani.pub

     - Gitolite 관리자 계정으로 들어가서 clone 해놓은 [ gitolite-admin ] repository 에 위치하자.
     - [ gitolite-admin ] repository를 살펴보면 [ keydir ] 디렉토리가 있다. 이곳이 바로 공개키를 넣을 곳이다.

     - 내 경우는 "scp"를 이용해서 'chani' 계정의 공개키를 복사해왔다.

     -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가져온 공개키의 파일명이다. chani 계정의 경우 [ chani.pub ]라고 이름을 지어줬다.
     - 그러면 다르게 하는 경우도 있지않을까?라는 의문점이 드는데... 불행하게도(?) 그렇다.

     - 사용자 1명이 1개의 공개키를 사용하면 무관하지만, 복수개의 공개키를 사용할 때에는 어떻게할까?!
     - [ chani@gmail.pub, chani@whatwant.pub ] 처럼 파일이름을 해도 되고,
     - [ chani@gmail.com.pub, chani@whatwant.com.pub ] 처럼 파일이름을 해도 된다.



2. Error

     - 그런데, 여기에서 에러 상황이 발생했다.


$ git add ./keydir/chani.pub
$ git commit -a -m "add user 'chani'"
$ git push

     - 여기에서 경고 메시지를 발견했나요?

remote: WARNING: keydir/chani.pub duplicates a non-gitolite key, sshd will ignore it

     - 어?! gitolite가 아닌 키가 중복된다고?! sshd가 이걸 무시할거라고? 이게 뭔말이지?
     - 매뉴얼 등에서 이런 말은 못들었는데~!!!

     - 그래서 뭔가 이상해서 chani의 SSH 키 파일을 새로 생성해서 gitolite-admin/keydir/ 에 다시 등록해보았다.
     - 그랬더니 이번에는 push가 잘 되었는데...

     - chani 계정에서 ssh로 git-repo@localhost 에 접근을 할 수가 없는 것이다.
     - 새로 생성한 공개키를 git-repo@localhost 에 등록하지 않았으니,
     - 즉, 예전 공개키가 등록이 되어있으니 당연한 것이다.

     - 이 때 번뜩 떠오른 생각이 있으니...


     - "chani"라는 계정의 공개키를 지금 현재 2가지의 목적으로 사용하려고 하고 있는 것이다.
     - 물론 내부적으로는 SSH를 이용하고 있다는 점은 같지만,
     - SSH Console 로 접속을 하는 한가지와 Gitolite로 접속하는 한가지...
     - 즉, 2가지 접근 방법을 하나의 통로로 사용하려는 것이다.

     - 그럼 내부적으로 이걸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 nano ./.ssh/authorized_keys


     - Gitolite 관리자 계정에서 [ ./.ssh/authorized_keys ] 파일을 확인해보자.


     - 어?! 이상한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 # gitolite start ~ # gitolite end ] 라는 문장들이다.

     - 정확한 내부 로직은 분석을 해보지 않았지만 (솔직히 좀 귀찮다.... 흑... 분석해보면 도움이 될거라는 것은 알지만)
       일단 기본적인 SSH Login 흐름을 Gitolite가 가로채서 자신의 공개키로 인증하게 하는 것으로 추정이 된다.

     - 그러다보니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같은 공개키를 사용하려하면 이 놈이 햇갈려하는 것 같다.

     - 결론은 같은 공개키로 SSH와 Gitolite를 사용하는 것은 안된다.
     - 어떻게 하면 할 수는 있겠지만, 문제의 소지가 있는 것은 원천적인 해결책을 찾기 전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일단,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 추가는 되었다!



3. Repository 추가하기

     - Gitolite로 관리하는 repository로 만들기에 대해서 알아봐야 하는데, 실은 엄청 쉽다.
     - 지금까지 Gitolite의 환경 파일 [ ./conf/gitolite.conf ] 파일에 해당 repository 정보만 적어주면 되는 것이다.

     - 문제는 이렇게만 알고 있다고 끝이 아니다!!! 이게 생각보다 복잡하다.



4. New Repository 생성하기

     - 신규로 repository를 생성하는 방법은 어떻게 될까?!


repo bare2repo
             RW+          = @whatwant

     -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 bare2repo ]라는 이름의 repository에 대해서 권한 설정을 해준다.
     - 당연히 commit 하고 push 하는 것은 잊지 않기를...


     - 이제 어떻게 repository가 생기는 것인지 해보자.



     - 위와 같이 repository를 clone을 해서 사용할 수 있다.
     - 여기에서 포인트는 Server에 [ bare2repo.git ] repository가 없는데도 clone을 할 수가 있다는 점이다.

     - 그럼 여기에서 드는 궁금증. Gitolite의 권한 설정 없이 그냥 아무 이름이나 사용해서 가능할까?


     - 위 스크린샷과 같이 에러가 발생한다.


     - 결론!! 새로운 repository를 만들고 싶으면 [ ./conf/gitolite.conf ] 파일에 권한 설정을 해주면 된다!!!



5. Existing repository

     - 이번 포스팅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큰 관심이 있는 부분은 바로 이것이다!
     - 기존에 작업하던 repository를 셋팅한 여기 이 Server에 넣어서 관리를 하고 싶을 때 어떻게 하면 될까?!


     - "git-repo" 계정으로 접속해서 가져오고 싶은 repository를 가져오자.
     - [ scp -r ] 명령으로 repository를 전송 받아오면 된다. (가져오는 방법은 각자 다양하게 있을 것이다)

     - 차례대로 따라왔으면 눈치챘겠지만, 가져왔으면 당연히 [ gitolite-admin/conf/gitolite.conf ] 파일을 손봐야한다.


repo bare1repo
             RW+          = @whatwant

     - "bare1repo" repository에 대한 설정을 넣어주면 된다. (commit & push 는 이제 더 이상 말하지 않아도...)

     - [ RW+    personal/USER/ = @whatwant ] 줄은 무시하시길....^^ 다음 포스팅 때 알게될것이니....

     - bare1repo.git repository를 위치에 놓고 계정 권한 설정을 했으니 이제 OK?????


     - 바로 해당 repository를 clone을 하면 위와 같이 error가 발생을 한다.
     - [ gl-conf ]를 못찾는다고 하는데, 대체 [ gl-conf ]가 뭐길래?


     - 혹시나하고 [ gitolite-admin.git ] repository에서 살펴보니 위와 같이 존재한다.
     - 내용은 계정에 대한 정보이다. 아마도 'GitoLite-CONFig' 파일인가보다.


     - 그래서 복사해 놓은 "bare1repo.git " repository의 파일을 살펴보니 당연하게도 [ gl-conf ] 파일은 없다.

     - 그러면, 이걸 어떻게 만들어 넣을 수 있을까?
     - 이 질문을 바꾸면 Gitolite에게 이 repository의 존재에 대해서 어떻게 알려줄 수 있을까?


$ ~/gitolite/src/gitolite setup

     - [ ~/gitolite/src/gitolite setup ] 명령을 실행시키면 [ gl-conf ] 파일이 생성이 된다.
     - 아무런 메시지를 보여주지 않아서 쫌 썰렁하지만, 너무나 간편하다.


     - 다시 clone을 해보면..... 짠~!!! 성공~!!!!



너무 길게 포스팅을 한 것 같지만...
그래도 매뉴얼 같은 곳에서 제대로 된 설명을 찾아보기 힘든 부분이니 잘 참고하세요~^^

반응형

'SCM > Git-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base - 또 하나의 merge  (0) 2012.05.30
Gitolite - Personal Branches  (4) 2012.05.28
Git 계정 관리 - Gitolite's Repository  (4) 2012.05.20
Git 계정 관리 - Gitolite 설정하기  (3) 2012.05.19
Git 계정 관리 - Gitolite 설치하기  (23) 2012.05.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