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이번에는 "Merge Sort"에 대해서 알아보자.

한글로는 "합병 정렬" 또는 "병합 정렬"이라고 불리운다.

[출처] https://www.whatwant.com

 

세계의 모든 지식이 들어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위키피디아에서는

Animated GIF 이미지로 Merge Sort를 너무나 잘 설명해주고 있다.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Merge_sort

 

이 알고리즘은 그 유명한 "존 폰 노이만(John von Neumann)"님이 1945년에 개발했다고 한다.

우리의 갓 노이만 형님 !!!

 

위 Animation을 잘 지켜보면 알겠지만,

"Divide-and-Conquer (분할 및 정복)" 알고리즘의 하나이다.

[출처] https://www.whatwant.com

 

반절씩 잘라서 나누고, 합치면서 정렬을 하는 것이다.

[출처] https://www.whatwant.com

 

그런데, 실제 구현을 할 때 divide를 하기 위해서

위의 그림에 있는 모든 박스의 갯수만큼 별도의 메모리 공간을 확보해야 할까?

 

한 번에 모든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는 것 보다는

한 단계씩 나눠서 그 때 그 때 필요한 값을 복사해서 사용하는 방식이 훨씬 효율적이고 똑똑한 방법이 되겠다.

 

무슨 말이냐고!?

한 단계씩 밟아나가보자 !!!

[출처] https://www.whatwant.com

 

위 그림과 같이 8개의 입력이 있다고 해보자.

인덱스(index)값의 의미로 "[ ]"로 묶은 형태로 표기해보았다.

 

우리의 명령(입력)은 다음과 같다.

 

"1번부터 8번까지의 인덱스를 갖고 있는 입력값을 merge sort 해줘 !!!"

 

이것을 1-depth 더 들어가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번부터 4번까지의 값을 merge sort하고

5번부터 8번까지의 값을 merge sort한 다음에

그 2개의 결과를 merge 해줘"

 

어!? 여기에서 조금 애매한 표현이 등장했다. merge ???

[출처] https://www.whatwant.com

 

[5, 6] 과 [1, 3]을 merge 하는 과정을 보면 그냥 합치는 것이 아니라

크기를 비교해서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하나씩 넣어가는 과정이다.

 

그리고 여기에서 주의해야할 사항이 하나 더 있다.

 

[5, 6] 과 [1, 3]을 merge 할 수 있는 것은 [5, 6] 과 [1, 3]이 각각 이미 sort가 되어있기 때문이다.

 

그림으로 살펴보자.

[출처] https://www.whatwant.com

 

[2, 4, 1, 3]이라는 값을 merge 한다고 하면

반절 크기의 2개의 메모리 공간을 잡아놓고, 거기로 값들을 복사한다.

[출처] https://www.whatwant.com

 

그리고 2개 메모리 공간의 앞 부분의 값을 비교해서

작은 값 순서대로 하나씩 복사해 넣는 과정으로 정렬이 된 값으로 merge가 된다.

 

Pseudo Code는 다음과 같다.

[출처] https://www.whatwant.com

 

p, q, r 값의 정체는 다음과 같다.

[출처] https://www.whatwant.com

 

merge 작업을 할 시작 위치(p), 끝 위치(r), 그리고 divide를 할 중간값(q)이다.

그러면 pseudo code를 진행하면서 정해지는 값/상태들을 확인해보자.

 

쪼갠 값들을 저장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계산하기 위한 n1, n2 값을 계산한다.

[출처] https://www.whatwant.com

 

divide한 값을 저장할 2개의 메모리 공간을 생성한다.

[출처] https://www.whatwant.com

 

응?! 4개가 아니라 5개씩 공간을 준비하네?!

그 다음 pseudo code들을 진행해보면 이유를 알겠지.

[출처] https://www.whatwant.com

 

이제 모든 준비는 끝났다.

[출처] https://www.whatwant.com

 

여기까지 해서 merge 과정에 대해서 살펴봤다.

이제, 전체적으로 merge sort 하기 위한 pseudo code를 알아보자.

[출처] https://www.whatwant.com

 

3번 라인은 본래 아래와 같은 notation이다.

Editor에서 사용 가능한 기호 중에서 마땅한 것을 찾지 못해서 ^^

[출처] https://www2.hawaii.edu/~suthers/courses/ics311f20/Notes/Topic-02.html

 

2로 나눈 결과의 소숫점 버림값을 취하겠다는 의미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기반으로 Python으로 구현해보면 다음과 같다.

[출처] https://www.whatwant.com

 

 

Merge Sort를 어떻게 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이제 다 알아봤다.

남은 것은 Performance 측정이다.

 

먼저, Merge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해보자.

[출처] https://www.whatwant.com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 처럼

핵심적인 부분은 move와 comapre로 구성되어 있다.

 

move는 "n1 + n2" 횟수만큼 실행이 되고

compare는 "n1 + n2" 보다 작거나 같은 횟수만큼 실행이 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2 * (n1 + n2) 횟수보다 같거나 적은 횟수만큼 실행이 된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Merge = Θ(n1 + n2)

 

그러면, 전체 Merge Sort의 소요 시간은 얼마나 될까!?

 

[출처] https://www.whatwant.com

 

MERGE-SORT(A, p, r) 의 소요 시간을 T(n) 이라고 하면,

3번째 라인과 4번째 라인은 n의 이등분된 값을 갖게 되므로 T(n/2) 값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5번째 라인은 바로 앞에서 살펴본 내용에서 n1 + n2 = n 이므로 Θ(n) 값으로 표현해볼 수 있다.

 

여기에서 생각해볼 것은 1번 라인이 비교문이라는 것이다.

비교문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p < r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는 n=1 일 경우일 것이다.

 

그래서 점화식으로 표현해보면 다음과 같다.

[출처] https://www.whatwant.com

 

이와 같은 경우는 'Recursion Tree Method(재귀 트리 방법)'을 통해 풀어낼 수 있는데,

중간 과정은 생략하고.... 그래서 계산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출처]&nbsp;https://cs.stackexchange.com/questions/64060/mergesort-recurssion-tree-depth-logs

 

위의 이미지에서는 Big-O로 표기되었지만, Big-Theta로 할 수 있다.

 

그러면 메모리 공간은 얼마나 사용할까?

 

"n"개 만큼 더 필요로 한다.

최대 n개 공간이 있으면 그것을 이용해서 모두 계산 가능하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