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를 사용하는 분들 중 상당수는 과거 CUI - Consol User Interface 를 좋아하는 분들이다.
이런 분들은 그냥 SSH 접속만으로도 충분히 만족을 한다.
터미널 접속만으로도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Ubuntu를 통해 처음 Linux를 접하는 분들 또는 GUI 환경을 좋아하는 분들은
그것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한다.
아름다운 X-Windows 환경을 원격 접속을 통해서도 계속 사용하고 싶어하는 것이다.


원격에서도 X-Windows를 그대로 사용하고픈 사용자들을 위해서
과거부터 X-Manager와 같은 많은 유틸리티들이 있었고 VNC와 같은 대표적인 도구도 있다.



그렇지만, MS-Windows 환경이라면
이제는 Ubuntu의 X-Windows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그냥 "원격 데스크톱 연결(mstsc)"을 사용해서 접속 사용할 수 있다.


$ sudo apt-get install xrdp

[ xrdp ]라고 해서 이전과 다른 새로운 패키지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결국은 VNC 기반이다.

위와같이 [ xrdp ]만 설치되면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처음 연결을 할 때의 해상도를 로그아웃할 때까지 유지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설정을 미리 변경하고 접속을 시도하는 것이 좋다.


로그인 화면이 예전에 많이 보던 VNC 화면과 유사, 아니 동일하다 ^^


접속을 하면 예쁘게 나타난다.
이제 X-WIndows 화면을 통해 원격으로 편하게 작업을 할 수가 있다.



그런데, 가끔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session이 제대로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인데, 알맞은 session을 직접 지정해주는 방법으로 해결을 할 수 있다.

보통 구글링을 하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을 하곤 한다.

$ nano ~/.xsession

접속하려는 계정의 홈디렉토리 밑에 [ .xsession ] 파일을 만든다.

gnome-session --session=ubuntu-2d

그 안에 위와 같은 내용을 쓴 다음, 다시 원격 접속을 시도하면 보통 성공을 한다고 한다.


추정이지만,
위와 같이 해결이 되는 경우는 최근 Ubuntu에서 사용하고 있는 Unity의 경우
원격 접속을 통해서는 제대로 된 출력을 할 수 없어서 에러가 발생을 하고
그래서 직접 [ ubuntu-2d ] session으로 원격 접속을 지원하도록 하면 대부분 문제가 해결이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해서 해결이 되는 경우는 [ ubuntu-2d ] session이 정상적인 동작을 하는 경우에만 적용이 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당연히 계속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gnome-session --session=gnome-classic

$ sudo service xrdp restart


보통 ubuntu를 일반적으로 설치했을 경우 지원하는 session은 [ ubuntu-2d ] 또는 [ gnome-classic ]이다.

사용할 수 있는 xsession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아래와 같이 실행하면 된다.


$ ls -al /usr/share/xsessions/

위 스크린샷은 일반적인 ubuntu가 아니라 [ xubuntu ]를 설치했을 경우에 나오는 화면이다.



모두들 즐거운 Ubuntu 생활하길~!!!


반응형

'OS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터미널 폰트 변경  (0) 2012.09.15
Linux in PowerPC (Mac Mini - A1103)  (0) 2012.09.04
Ubuntu - sudoers visudo  (3) 2012.08.18
우분츄 - 세계최초! 학원 우분투 러브코메디  (0) 2012.08.15
Ubuntu CPU 정보 확인하기  (0) 2012.08.15

예전에 Linux를 사용하다가 Ubuntu를 사용하시는 분들을 비롯해서
처음으로 Ubuntu를 사용하시던 분들이 가장 어색해하는 것 중 하나가 root 권한이다.

옛날 옛날 한 옛날에 Linux를 공부하면 제일 많이 듣는 말 중 하나가,
root 계정으로 작업하면 조심, 조심, 또 조심을 해야하고, 또 다시 조심을 해야 한다!였다.

root 계정으로 'rm -rf'를 하다가 파일 시스템 모두 날려먹었다는 무용담은 종종 회자되었다 ^^



그래서인지, Ubuntu는 기본적으로 root 계정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고,
root 계정이 필요한 경우 "sudo" 명령어를 통해서 root가 아닌 계정에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도 약간의 제한을 두고 있다.
아무 계정에서나 root 권한이 필요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root 권한이 필요한 명령을 "sudo"라는 것을 통해 실행할 수 있는 계정을 별도로 관리한다.

이것이 왜 헷갈리냐면,
Ubuntu를 처음 설치할 때에 만들어지는 계정이 바로 root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계정이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당연히 sudo를 실행할 수 있어왔기에
신규로 계정을 만들면 당연히 sudo를 실행할 수 있는 걸로 착각한다.



서론이 길었는데,
sudo를 실행할 수 있는 root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계정을 어떻게 만드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1. admin 그룹

     - admin 그룹에 속하는 계정은 root 권한을 사용할 수 있다.



2. /etc/sudoers 파일 편집

     - root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계정 목록에 포함 시킨다.

$ sudo nano /etc/sudoers


     - 위와 같이 되어있는 파일에 사용하고픈 계정 정보를 추가해주면 된다.
     - 계정으로 추가하고 싶은 경우에는 [ root .... ] 부분과 같이 추가해주면 되고,
     - 그룹으로 추가하고 싶은 경우에는 [ %admin ... ] 부분과 같이 추가해주면 된다.


3. visudo

     - 본래 Ubuntu에서 권장하는 방법은 [ /etc/sudoers ] 파일을 직접 수정하는 것이 아니다.

$ sudo visudo

     - 사실 나오는 내용은 위와 똑같다!!!




아름다운 Ubuntu 생활을 위해서~~~~~!!!


반응형

Ubuntu에 대해서 이것 저것 알아보다가 우연히 발견한 재미있는 컨텐츠~


헉! 이거 웬 모에~!!!!

이 컨텐츠에 대한  출처는 다음과 같다.

     - 원본 출처: AERIAL Line - Ubunchu
     - 원 저작자: Seo Hiroshi : Seotch
     - http://foxtalk.tistory.com/39


위 그림을 보면.... 조금은 오해를 할 수도 있다.
그냥 Ubuntu를 좋아하는 오타쿠가 그린 그냥 그런 만화구나~할 수도 있는데...

일본에서 출판하고 있는 ASCII 매거진의 부록 간단 우분투에서 연재되는 만화라고 하는데,
원 저작자에게 허락을 받고는 능력자 분이 번역을 해서 위 블로그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볼 수가 있다.

내용은 우분투에 대한 소개를 하고 있다.
컴쟁이들이 한 번쯤은 생각해보았을만한 설정으로 윈도우즈를 좋아하는 사람, 커맨드 환경을 좋아하는 사람,
그리고 귀여운 아무것도 모르는 소녀 하나..... ^^


우리나라도 감사하신 분의 도움으로 번역되어 있지만,
우리 나라 외에도 17개국에서 자발적인 도움으로 번역되어 배포가 되고 있다고 한다.

     - http://translate.google.com/translate?hl=ko&sl=ja&tl=ko&u=http%3A%2F%2Fascii.jp%2Felem%2F000%2F000%2F427%2F427992%2F

아래의 사이트를 통해 5화까지 번역된 PDF를 받아볼 수도 있다.

     - http://j.strane.net/wp/archives/910

영어로 된 공식 사이트도 한 번 방문해보면 좋을 것 같다.

     - http://seotch.wordpress.com/ubunchu/


Ubuntu를 엄청 많이 좋아하는 입장에서
최근 Linux 관련 잡지 하나 없는 (전부 망했다는...ㅠㅠ) 우리나라...
반면 Linux도 아닌 Ubuntu 관련 잡지도 있고 이런 만화까지 나오는... 일본...
조금 슬펐다.


이것 저것 살펴보다가 결국은 "Ubuntu Magazine Vol.8"을 구매했다.
일본어 공부, 실제로는 거의 가타가나 공부가 필요할 듯...

반응형

'OS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원격접속 (xrdp, vnc)  (3) 2012.08.30
Ubuntu - sudoers visudo  (3) 2012.08.18
Ubuntu CPU 정보 확인하기  (0) 2012.08.15
Ubuntu 시간 맞추기 (ntpdate)  (0) 2012.08.11
Ubuntu apt-get proxy  (0) 2012.08.10

Linux 환경에서 H/W 정보를 확인하기가 마땅하지가 않다.
기본 제공해주는 유틸리티로는 원하는 정보 확인이 힘들다.


하지만, 이는 Linux를 잘 모르는 사람의 말이다.
실제 Linux에서 HW 관련 정보를 너무나 잘 정리해서 알려준다.


$ cat /proc/cpuinfo

Ubuntu의 디렉토리 중 [ /proc ] 밑에는 시스템과 관련된 것들이 몽창 모여있다.

Linux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신 분들이라면 알겠지만,
Linux는 모든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해 모든 사항들을 파일로 취급한다.

지금 우리가 확인하고 싶은 CPU도 마찬가지이다.
위 명령과 같이 [ /proc/cpuinfo ] 파일을 살펴보면 되는 것이다.

정확히 CPU Model만 알고 싶다면...

$  cat /proc/cpuinfo | grep "model name"

뭐 별다른 것은 아니다.

Linux의 CUI 환경을 조금만 사용해보신 분들이라면 알고 계실 [ grep ]를 이용한 필터링을 했을 뿐이다.
반응형

Ubuntu를 사용하다보면 가끔 시간이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시간을 맞추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X-Windows 화면에서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여기서 언급하지 않겠다.



Ubuntu 환경에서 주로 사용하는 시간맞추기 명령은 "ntpdate"이다.
없으면 apt-get으로 설치하면 된다.


설치는 쉽다.

$ sudo ntpdate time.kriss.re.kr

시간 정보를 알려주는 서버만 알고 있으면 된다.
많은 서버가 있으니 그 중 하나 골라잡으면 된다.

time2.kriss.re.kr
time.bora.net
ntp.kornet.net
ntp.postech.ac.kr
ntp.ewha.net
ticktock.ewha.net
time.bora.net

그런데, 위와 같이 했을 때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 sudo ntpdate time.kriss.re.kr
 9 Aug 16:09:27 ntpdate[17111]: no server suitable for synchronization found

보통 위와 같은 에러는 방화벽 등의 보안 문제로 종종 발생한다.
ntp 서버들과 통신할 때 123포트 등의 일반적이지 않은 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방화벽에서 막히는 것이다.

이럴 때엔 [ -u ] 옵션을 사용하면 보통 해결이 된다.

$ sudo ntpdate -u time.bora.net


위 서버 목록 중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 중 하나가 time.kriss.re.kr 인데,
짧은 시간 동안 자주 접근하면 접속을 차단해버린다. 주의하기 바란다.
 
반응형

Ubuntu를 사용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 apt-get ] 명령이다.

그런데, 회사에서 Ubuntu를 사용하려고 하면 종종 부딪치는 문제가 바로 proxy이다.
보안을 위해서 또한 여러가지 이유로 어쩔 수 없는 proxy이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정말 엄청 많이 번거로운 놈이 아닐 수 없다.


Ubuntu에서 기본 네트웍 설정에서 proxy를 설정해주었는데도
[ apt-get ] 명령을 시도하면 repository에 연결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 apt-get ]에서 별도로 proxy 설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 sudo nano /etc/apt/apt.conf

Acquire::http::proxy "http://xxx.xxx.xxx.xxx:8080/";
Acquire::ftp::proxy "ftp://xxx.xxx.xxx.xxx:8080/";
Acquire::https::proxy "https://xxx.xxx.xxx.xxx:8080/";

[ /etc/apt/apt.conf ] 파일이 기존에 없을 것이다(물론 상황에 따라 이미 있는 분도 계시겠지만... 일반적으로).
새로 만들어서 위와 같이 proxy 설정을 해주면.... 슈루룩~

집에서는 당연히 proxy 환경이 아니고... 일부러 proxy 환경을 만들어놓기는 번거롭고...
회사에서는 보안문제로 스크린샷을 찍을 수 없고...
그래서 샘플 화면은 없습니다~!!! ^^


proxy 환경에서도 아름다운 ubuntu 생활을 합시다~ ^^
반응형

SSH 접속을 하게 되면 초기 화면이 좀 썰렁하게 나오곤 한다.

그래서 종종 접속 화면을 꾸미기도 하는데... 그냥 꾸미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 정보가 나오면 어떨까?


1. 접속 화면?

     - ssh 터미널 접속을 하게 되면 Ubuntu에서 보여주는 기본 내용이나 공지(?)들이 나오곤 한다.




2. landscape

     - Ubuntu에서는 접속 화면에 시스템 정보를 보여주는 용도의 패키지를 제공해준다.


$ sudo apt-get install landscape-common


     - 이렇게만 하면 끝이다~!!!



3. 접속 화면

     - 아래와 같이 접속화면에 기본적인 시스템 정보가 나타난다.


     - 뭔가 있어보이는 화면이 너무나 손쉽게 설치를 할 수 있다!!!

 
반응형

'OS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시간 맞추기 (ntpdate)  (0) 2012.08.11
Ubuntu apt-get proxy  (0) 2012.08.10
Ubuntu에서 distcc 사용하기  (0) 2012.06.30
우분투 버전 확인 (lsb_release -a)  (0) 2012.06.30
Ubuntu in PowerPC (Mac Mini - A1103) - Wireless  (4) 2012.06.17

빌드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방법은.... 바로 분산 빌드이다.
형상관리 도구인 Git 도 바로 분산 형상관리인데...
여하튼 분산이 유행이다.

     - distcc: a fast, free distributed C/C++ compiler
     - https://code.google.com/p/distcc/


빌드를 나누어서 분산하여 수행을 한다라....
듣기만 해도 왠지 어려울 것 같고, 설정하기 힘들 것 같은데...
정작 해보면 의외로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런데, 실제 검증을 회사에서 진행을 해서리.... 스크린샷이 없습니다!
회사에서는 보안 이슈로 인하여, 스크린샷 같은 바이너리를 외부에 전송을 못한답니다.
아직 대출금이 많아서 회사에서 잘리면 안되기에..... ^^ 양해바랍니다!!!!!

(집에서 다시 하면 안되냐구요 ?! ㅋㅋ 지금 HDD 복구 프로젝트로 인하여 여건이 그닥 좋지가 않아서요...
 네... 네... 맞습니다. 귀차니즘 때문에..... 흑흑.... 흑흑.....)



1. Server 설치

     - distcc 에서는 Server와 Client가 필요하다.

     - 빌드를 수행하는 놈이 Client가 되고,
     - 빌드가 분산되어서 날라오는 것을 처리해주는 애들이 Server가 된다.

     - 빌드를 실행하는 놈도 같이 빌드를 수행하면 좋으므로 Client이지만, Server도 된다.

$ sudo apt-get install distcc distccmon-gnome

     - [ distcc ] 설치는 당연히 진행을 해야하는 것이고,
     - 그래픽컬한 모니터링을 위해서 추가로 [ distccmon-gnome ]을 설치해주면 좋다.

$ sudo nano /etc/default/distcc

STARTDISTCC="true"
ALLOWEDNETS="111.111.111.111 222.222.222.222 127.0.0.1"
LISTENER = “Server 자신의 실제 IP, not 127.0.0.1”

     - distcc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값을 설정하는 부분이 있고, 실제 실행하는 스크립트가 있다.
     - 기본 설정값을 명시하기 위해서 위와 같이 작성하면 된다.

     - [ ALLOWEDNETS ] 값은 분산 빌드를 받아줄 IP를 명시하는 곳이다.
     - 어디에서 요청받은 것인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분산 빌드를 실행하는 것이다.

     - 경험적으로 보건데, 저 나열하는 순서를 기준으로 빌드를 할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 그러므로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자신의 PC가 성능이 괜찮으면 자신을 앞으로 놓는 것이 좋을 것이고.
     - 자산의 PC 성능이 나뻐서 분산 빌드를 수행하는 것이라면 다른 서버를 앞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 [ LISTENER ] 부분은 실제 빌드를 수행하는 Client라면 그냥 "127.0.0.1"이라고 해줘도 되지만,
        외부로부터의 빌드 요청을 받는 Server라면 자신의 실제 IP를 적어줘야 한다.


2. distcc PATH

     - ccache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을 하는 distcc 이므로, ccache와 같은 방식으로 환경을 맞춰주자.

$ cd /srv/install/distcc/path

$ ln -s /usr/bin/distcc arm-generic-linux-gnueabi-c++
$ ln -s /usr/bin/distcc arm-generic-linux-gnueabi-cc
$ ln -s /usr/bin/distcc arm-generic-linux-gnueabi-g++
$ ln -s /usr/bin/distcc arm-generic-linux-gnueabi-gcc
$ ln -s /usr/bin/distcc arm-generic-linux-gnueabi-gcc-4.3.2

     - distcc의 장점 중 하나는 Cross-compile 환경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 빌드 실행 환경만 맞춰주면 된다.

     - 위의 예는 freescale 환경의 Cross-compiler 들의 동적링크를 distcc로 설정한 것이다.

     - [ arm-generic-linux-gnueabi-g++ ]을 실행하려고 하면, 대신에 [ /usr/bin/distcc ]가 실행되도록 하면 된다.

     - 위와 같이 설정한 것을 distcc에게도 알려줘야 한다.

$ sudo nano /etc/init.d/distcc

PATH=/srv/install/distcc/path:/컴파일러경로:$PATH

     - 위와 같이 설정을 했다면 이제 실행하자.

$ sudo /etc/init.d/distcc start




3, execute

     - 이제 분산 빌드가 필요한 어떤 소스코드를 빌드를 해보자.

$ export PATH=/srv/install/distcc/path:$PATH
$ export MAKE="make -j8"
$ make

     - 이렇게 하면 끝이다.
     - 그냥 자기가 알아서 적당히 분산해서 빌드해주고 결과를 만들어준다.

     - make j 옵션의 숫자를 좀 크게 적어주면 된다.
     - 여기에서는 로컬 PC의 core 갯수가 기준이 아니다. 분산으로 쪼개서 빌드를 수행할 기준이다.

     - 지금 어떻게 빌드가 되고 있는지 보고 싶다면...

$ distccmon-text

$ distccmon-gnome

     - 텍스트로 보는 것 보다는 예쁜 화면으로 보는 것이 보기 좋다.

     - 어떻게 분산되어서 빌드가 되는지를 막대기로 보여주는데...
     -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분산을 해서 빌드를 하려고 했는데,
       에러가 나서 그냥 로컬에서 다시 빌드를 수행한다는 의미이다.
     - 즉, 분산 시도가 에러가 나면 그냥 로컬에서 빌드룰 수행함으로써 결과물에는 지장이 없도록 해준다.



4. error

     - 사정이 여의치 않아서 발생하는 error 들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파고들지는 못했다.

     - 우선, 빌드가 수행되다 보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온다.

(dcc_mkdir) ERROR: mkdir '//.distcc' failed: Permission denied

     - [ .distcc ] 파일을 생성해야하는데, 권한 문제가 발생해서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것인데...
     - distcc는 자신의 실행 권한을 위해서 [ distccd ]라는 계정을 만들어서 활용한다.

     - 계정도 빌드 실행 계정과 distcc 계정 간의 관계도 있고 뭐 복잡하고 하니 그냥 막 권한을 풀어주면 될 것 같은데,
     - 권한 문제를 풀어줘도 다른 문제가 발생하는 등 여러 이슈가 있다.

     - [ zeroconf ] 문제도 이어서 발생하는데, 이걸 사용하지 않는다라고 환경 설정을 해도 여전히 발생하곤 한다.

     - 이게 ubuntu에 포함된 패키지의 버그인지 검증해보기 위해서 소스 설치해서 진행해보고....해야하는데...
     - 귀차니즘이.... 그냥 막....

     - 위에 명시한 에러가 발생을 해도 분산 빌드가 잘 실행이 된다.

     - 나중에 직접 분산빌드를 수행할 일이 생기면, 이 부분에 대해서 추가로 검증을 해보기로 하고...
     - 지금 이번에는 그냥 무시~~~!!!




5. 잡소리

     - 회사에서 빌드가 약 500~600분 정도 소요되는 것이 있어서 빌드시간을 단축하고자 distcc를 적용해보았다.
     - 그랬더니 약 40% 이상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와우~!!!
     - 그 외에도 몇 건의 빌드에 적용 검증을 해보았는데, 40~60% 정도의 이득을 볼 수 있었다.

     - ccache의 경우에는 탁월한 빌드 시간 단축이 가능하지만,
     - 최초 빌드 시에는 1~2% 정도의 시간이 오히려 증가한다라는 단점이 있다.

     - 그래서, 자료들을 찾아보면 ccache와 distcc를 동시에 적용해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곤 한다.


     - QT Library 빌드도 필요해서 distcc를 적용해보았는데, 많은 문제가 있어서 결국 제외를 했다.
     - QMake 라는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 보이기는 하지만.... 심도있는 분석은 다음 기회에...
     - QT의 경우에는 distcc의 pump mode라는 것을 적용하면 쓸만하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잘 안되었다.



     - distcc가 최근 집중하는 것은 pump mode인 것 같다.
     - 하지만, 개인적으로 아직은 안정적이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 pump 관련하여서는 추가적으로 검증 작업을 진행 후에 적용할 계획이다.

     - 기본 mode에 비해서 엄청 많이 빠르다고 하는데.... 꼭 검증해봐서 적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